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① 과학기술이 비대면을 가능케 했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플랫폼에 빠르게 적응해 나갔다.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하나로 회사, 가정 가리지 않고 모든 업무를 보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 됐다. 메타버스처럼 새롭게 떠오른 화두도 있다. 메타버스는 현실과 가상이 결합된 개념으로, 아바타로 게임을 즐기던 것에서 한 단계 나아가 실제 현실과 같은 ... ...
- [만화 뉴스] 혈액형이 달라도 이식 가능한 장기 나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교수팀은 이식 장기의 혈액형을 항원이 없는 O형으로 바꿨다고 발표했어요. O형을 제외한 모든 혈액형의 적혈구에는 항원이 있어 다른 혈액형의 혈액과 만나면 면역 반응을 일으켜요. 이 때문에 혈액형이 다른 사람에게 이식하면 혈액이 뭉치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죠. 연구팀은 A형인 폐에서 당의 한 ... ...
- [기획] 양자컴퓨터 분신술로 더 빨리 계산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분신술을 쓰듯 모든 길을 동시에 탐색해 탈출구를 훨씬 빨리 찾을 수 있죠. 그렇다고 모든 문제에서 양자컴퓨터가 빠른 건 아니에요. 양자컴퓨터가 빠르게 풀 수 있는 문제를 찾아 적합한 알고리듬을 만들어야 한답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슥슥 밀어서 재밌고 쉽게 배운다! 원소주기율표 퍼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조립해야 나중에 퍼즐을 움직일 수 있어요. 이때 맨 아랫줄부터 조립하면 수월하답니다. 모든 퍼즐을 끼워넣고 나면 오른쪽 맨 위의 한 칸이 남을 거예요. 마지막으로 원소 스티커를 설명서 속 원소주기율표 순서대로 알맞게 붙이면 퍼즐이 완성됩니다. 알아보자! 원소주기율표의 번호는 어떻게 ... ...
- [특집] 문명 2022 고대 문자를 해독하라!수학동아 l2022년 06호
- 한가운데 알 수 없는 문자가 적힌 거대한 비석을 제한 시간 안에 해독하는 것입니다. 모든 자원을 동원해 마지막 관문을 통과하세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문명 2022 고대 문자를 해독하라!Part1. [특집] 문명 백과사전 | 고대 유물 해독 방법은?Part2. [특집] 문명 전문가 | 고대 문자 ... ...
- [과학뉴스] 한국판 NASA, 경남 사천에 생긴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경남 사천a에 한국판 미국항공우주국(NASA)인 ‘항공우주청’이 생긴다. 4월 27일, 김병준 제 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 지역균형발전특별위 ... 더불어 그는 “안타깝게도 ‘한국 NASA’는 모든 논의가 지역 발전 문제로 쏠렸다”며 “모든 것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 ...
- [이달의 식물사연] 밤마다 기도하는 식물, 칼라테아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잎도 있다.칼라테아 중에서도 특히 반려 식물로 사랑받는 칼라테아 ‘메달리온’은 이 모든 특징을 집대성한 색감과 질감을 갖고 있다. 커다란 잎에 고운 새의 깃털을 섬세한 터치로 그려 놓은 것만 같다. 가장 안쪽에는 연둣빛 깃털 모양이, 그 주변으로는 진녹색의 패턴이 불꽃 모양으로 그려져 ... ...
- 제주도의 모든 생물을 기록하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섬휘파람새, 휘파람새의 노랫소리가 이따금 나무 사이에서 들려왔다. 참가자들은 보이는 모든 생물을 카메라에 담으려 노력했다. 과학동아와 내셔널지오그래픽은 과학동아 독자들과 함께 5월 21일~22일 제주도의 미개방 동굴도 탐험했다. 이 내용은 과학동아 7월호에 실릴 예정이다. 이번 ‘제주 ... ...
- [기획] 다시 모인 과학자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9 팬데믹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작되면서 제동이 걸렸다. 분야를 막론하고 거의 모든 학술대회가 취소되거나 온라인으로 전환됐다.과학자는 아직 아날로그 감성이 필요해 4월, 어김없이 또 춘계학술대회 시즌이 돌아왔다. 이번에는 분위기가 달랐다. 많은 학술대회가 다시 오프라인 개최를 ... ...
- [별별 우주 기네스] 우주에서 가장 밝은 별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2배 멀어지면 4배만큼 어두워지고, 3배 멀어지면 9배만큼 어두워지는 거예요. 만약 모든 별이 지구에서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고 가정하면, 우주에서 가장 밝은 별은 바로 ‘M33-013406.63’이에요. 실제로는 지구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망원경 없이는 볼 수 없지요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