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초리
몽둥이
송골매
해동청
주걱매
종아리채
맹금
d라이브러리
"
매
"(으)로 총 1,000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이저 프린터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인쇄품질의 모든 것을 전달해 주지 못한다는 데 있다. 일례로 해상도 3백60dpi의 도트
매
트릭스프린터는 3백 dpi의 잉크젯프린터보다 dpi 수는 높지만 인쇄품질이 좋다고 볼 수 없다. 마찬가지로 3백dpi의 레이저프린터가 같은 해상도의 잉크젯프린터에 비해 월등히 선명하다. 바로 각각의 인쇄방식에 ... ...
4 유전자 치료법 개발, 질병없는 세계 꿈꾼다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수 있다.따라서 유전자요법 개발에는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 미국에서는
매
유전자요법을 엄격한 기준으로 국가에서 심사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머지 않아 도래할 유전자요법 시대에 대비하여 이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사람에 적용할 때의 지침마련 등 국가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 ...
오존경보 발령, 이렇게 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과정을 거쳐 오존의 생성과 분해 사이의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오존은 화학적으로
매
우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므로 적당량의 오존은 살균 탈취 등 인간에게 이롭게 사용되지만 어느 기준을 넘어서면 인체나 동식물에 커다란 피해를 주기도 한다.지난 몇 십년간의 산업화는 이 분자들의 양을 ... ...
2 왓슨과 크릭, 이중나선 구조 발견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합성하는데 있어서 주형으로 작용한다는 반보전가설을 제안했다.이는 1957년
매
튜 메셀슨(Mattew Meselson)과 프랭클린 스톨(Franklin Stahl)이 방사선 동위원소를 이용한 실험으로 입증하게 되었다. 이로써 유전정보가 어떻게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가에 대해 명확한 해답을 주게 되었다 ... ...
'나비 천국' 계방산·발왕산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분류번호 곤-3)이나 설악산 정상에서만 발견되는 신부나비 (분류번호 곤-13)는 이북에선
매
우 흔한 나비라고 한다.신 박사는 "곤충은 비록 전체중 5%만의 알이 생존한다 해도 워낙 한 개체에서 태어나는 자손이 많아 종족 유지에는 충분하기 때문에 개방 환경에서는 절대 멸종하지 않는다는 것이 정설 ... ...
노트북 PC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케이블 연결 없이 사용이 가능해 출력이나 데이터 전송 등 기타 작업들을 수행할 때
매
번 케이블을 연결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없애준다. 노트북 역시 PC, 확장성 가능성 살펴야노트북 PC를 구입하는데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중 하나인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대해서 알아보자. LCD는 두개의 유리판 ... ...
새로 밝혀진 파스퇴르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10%를 받았다.프랑스 국민들의 성금으로 파리의 파스퇴르 연구소와 다른 나라의 자
매
연구소들이 세워졌다. 1895년의 파스퇴르의 장례식은 프랑스 정부가 비용을 지불하는 국장으로 치러겼다.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AIDS 바이러스를 세계 최초로 분리해내는 등 많은 발견을 한 파스퇴르 ... ...
생체리듬과 연령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실험은 전체 24개군으로 산란시킨 알에 대하여 산란 후 82시간부터 2백8시간 사이에
매
5.5시간 간격으로 명-명에서 암-암의 조건으로 옮겨 주었다.실험 결과 발생 후기인 1백31.5시간(그림의 화살표) 이후부터 부화리듬이 나타나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의문으로, 1)부화리듬을 지배하는 ... ...
도심 속 자연 그린 빌딩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기존자원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또 자원재생을 위해 투입되는 에너지 비용도
매
립 폐기 또는 소각에 따른 환경오염피해를 예상하면 충분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재생이 불가능한 자원의 경우에도 환경에 대한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처리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최근 미국에서는 건물을 ... ...
별 탄생의 순간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궤도경사각 차이 때문에 일시적으로 테가 안보이는 현상을 포착한 것. 이런 이벤트는
매
15년마다 일어난다.이것은 지난 5월22일 찍은 사진인데, 당시 토성까지의 거리는 15억km였다. HST의 WFPC2는 아주 먼 거리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분해능 덕분에 토성 대기에 나타나는 7백25km보다 큰 물체를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