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음속"(으)로 총 2,496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별 데이터 세상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메가바이트, 기가바이트는 알아도 테라바이트, 페타바이트, 엑사바이트를 넘어 제타바이트란 단어를 처음 들어본 친구는 주목하자. 어마어마하게 큰 정보량을 의미하는 엑사(10$^{18}$)바이트의 세상이 다가왔다. 이제 우리가 기침을 하고 화장실에 가서 용변을 보고, 몇시에 집을 나가 몇시에 등교 ... ...
- 문화 따라, 같은 표정 다른 기분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해외에서 말이 통하지 않을 때는 손짓과 발짓, 갖은 얼굴 표정까지 동원한다. 그런데 문화가 다른 곳에서는, 무언의 표정이 오히려 상대방을 헷갈리게 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노스이스턴대학 심리학과 리사 페들만 바렛 교수팀은 아프리카 나미비아 힘바족 54명과 미국인 68명을 대 ... ...
- 공부의 적➊ 학습장애 공부 못 하는 천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머리가 나쁜 건 아닌데 성적은 도대체 왜 이 모양이니?”“네가 노력을 안 하고 게으르니까 그런 거 아니니!”엄마와 선생님은 오늘도 나에게 뭐라고 하셔. 나도 열심히 공부하고 싶고 잘하고 싶어. 하지만 안 되는 걸 어떻게 해. 뭐? 이런 게 학습장애일 수도 있다고? 또 학습장애는 치료할 수 있 ...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즉 마음속에 나쁜 엄마만 점점 커지는 것이다.클라인은 “이 시기를 잘 넘기지 못하면 마음속에 나쁜 엄마 심상만 크게 자리를 잡게 된다”면서 “결국 나중에 커서 편집적 성향이 지속돼 끊임없이 타인의 의도를 의심하고 미워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종종 타인에게 끔찍한 일을 저지르지만, ... ...
- 썩소라도 웃는 게 보약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잘 웃는 사람이 오래 산다? 미국 메이저리그 야구 선수의 경우 정말 그렇다! 미국의 한 연구팀이 야구 선수들의 사진 속 미소와 수명 사이의 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결혼 유무, 선수 생활 기간, 비만도 등과 상관없이 사진 속에서 웃는 선수들이 그렇지 않은 선수들에 비해 오래 산 것으로 나타났 ...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뭐? 윈터 솔져의 공격으로 닉 퓨리가 쓰러졌다고?”강력한 적 윈터 솔져의 등장으로 어벤져스의 수장 닉 퓨리가 쓰러지고 쉴드는 최악의 위기에 처한다. 캡틴 아메리카는 과연 위기에 빠진 쉴드와 세상을 구할 수 있을까?“윈터 솔져에 대항하려면 더욱 강력한 방패가 필요한데…. 엇? 이건? 퓨 ... ...
- 연구팀에게 보내는 헌사-그들의 강철심장은 빅뱅보다 위대했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이번 연구가 발표된 컨퍼런스에서 밝게 웃고 있는 과학자들을 보며 마음 속에서 울컥하는 것이 올라왔다. 지난 10년에 걸친 그들의 땀과 노력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흔히 위대한 발견 앞에서 사람들은 발견자의 천재성을 이야기 한다. 그런데 이번에는 그들의 흔들리지 않는 강철심장을 이야기 하고 ...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꽃의 첫번째 유혹은 자신의 아름다움을 통해서였다. 꽃을 아름답다고 느끼고, 선호하던 사람에게 꽃은 열매라는 보상으로 보답했다. 한 달 전 산딸기 꽃이 피었던 장소를 기억한 사람은 나중에 그곳에서 산딸기를 먹을 가능성이 더 높았다는 얘기다. 미국 하버드대 심리학과 스티븐 핑커 교수는 ... ...
- 장거리 출퇴근, 병드는 현대인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기자의 동료인 L씨는 아침마다 버스를 한 번 이상 갈아타고 1시간 30분 걸려 출근한다. 퇴근까지 합치면 3시간이다. 또 다른 동료인 Y기자는 기차를 이용하는데, 하루에 2시간 이상 길에서 시간을 보낸다. 장거리 출퇴근을 하는 사람이 어디 이들뿐일까. 경기도청 자료에 따르면 하루 119만 명이 경기도 ... ...
- 작심삼일 탈출하려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시작이 반이다목표를 향해 갈 때 우리는 ‘일이 꽤 진행 됐군’이라며 얼마나 남았는지 마음속으로 재곤 한다.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자인 후앙 연구팀에 따르면 일의 시작 단계에서는 ‘벌써 많이 왔어’라며 과대평가하는 것이, 일의 마무리 단계에서는 ‘아직 멀었어’라며 과소평가하는 것이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