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착
달성
성취
d라이브러리
"
도달
"(으)로 총 2,03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레예프스키가 찾아 냈어. 하지만 에니그마는 끊임없이 발전했고 레예프스키도 한계에
도달
하고 말아. 에니그마를 더 이상 해독해 내지 못하게 된 거지. 그 사이 폴란드 내부의 첩자를 통해 독일은 폴란드가 에니그마를 해독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 냈고 히틀러가 이끈 독일군이 폴란드를 침입해 2차 ... ...
지구에서 달까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어디를 겨냥해야 할까?포탄이 초속 12킬로미터의 초속도를 유지한다면, 목적지에
도달
할 때까지 9시간밖에 걸리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속력은 계속 떨어질 테니까, 계산해 보면…(중략)…따라서 달이 목표 위치에 오기 97시간 13분 20초 전에 포탄을 발사해야 합니다.(중략)여섯 번째 질문 - 포탄이 ... ...
마하 15 극초음속 시대를 열어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인공위성 같은 추적 시스템의 성능이 좋아지면서 현재는 가능한 한 신속하게 목표점에
도달
하는 것을 선호해 램제트와 스크램제트 엔진이 제격이라고 한다.“스크램제트 엔진과 램제트 엔진이 아직까지 실용화되지 않은 이유는 또 있습니다. 램제트의 핵심은 초음속으로 유입되는 공기 속으로 ... ...
걸리버 여행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주의해 주기를 바란다. 나중에 한 친구에게 어떻게 그렇게 해서 그처럼 분명한 숫자에
도달
할 수 있었는가를 물었다. 정신을 차린 걸리버는 키가 12~13cm밖에 되지 않는 작은 사람들에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그 곳은 작은 인간들이 사는 소인국 릴리퍼트였던 것이죠. 몇 차례 위기도 ... ...
논술 준비는 기본개념 정리부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기르도록 한다. 속력을 ‘시간 분의 거리’라고만 암기하면 더 이상 확장된 생각에
도달
하지 못한다. 짧은 시간 안에 자연계 논술을 어느 정도 수준까지 준비하고 싶다면 이런 기본적인 개념부터 정리하는 것이 좋다. 넷째 첨삭을 통해 자신을 평가받아라. 자신의 글이 이상적인 답안에 어느 정도 ... ...
비만을 부르는 지방산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준 첫 번째 그룹의 생쥐들은 쉬지 않고 먹이를 먹었다. 클렉 교수는 “팔미트산이 뇌에
도달
하면, 렙틴이나 인슐린이 식욕을 억제하도록 신체에 보내는 신호를 뇌가 무시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보낸다”고 설명했다. 렙틴이나 인슐린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포만감을 느끼지 않아 음식을 계속 먹게 ...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한없이 가까이 다가간다'는 개념을 말합니다. 가까이 다가가기는 하지만 결코 그 값에는
도달
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는 거지요. 예를 들어, 0.9는 1과 가까운 수입니다. 0.99는 1과 더욱 가깝지요. 이렇게 계속 나가면 어떻게 될까요?0.9 0.99 0.999 0.9999 …(중간생략)… 0.99999999………… 뒤에 9를 ... ...
구름 탄생의 기원 ‘우주선’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설명하기는 어렵다.스벤스마크 박사팀은 태양의 활동이 활발해질 때 우주에서 지구에
도달
하는 우주선의 강도가 감소하는 ‘포부시 감소(Forbush decrease)’ 현상에 주목해 “태곳적 지구에서는 이온화된 물방울이 에어로졸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대기 중의 물방울에 우주선이 충돌하면 물 ... ...
나로 호, 우주강국 ‘궤도 진입’ 실패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없었다는 뜻이다. 과학기술위성 2호가 정상 궤도인 고도 306km보다 훨씬 높은 387km까지
도달
했다 지상으로 낙하했다는 정부 발표가 이 같은 추론의 가능성을 높여준다.페어링을 매달고 예정보다 높이 상승했기 때문에 나타난 문제는 또 있다. 일단 궤도 근처에 다다른 위성이 떨어지지 않고 지구 ... ...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않다. 1947년 반도체 소자인 트랜지스터가 발명되며 시작된 전자문명은 이미 그 한계에
도달
했다.‘컴퓨터의 두뇌’인 중앙처리장치(CPU) 속도를 더 높이려면 반도체 소자의 회로 선폭을 계속 줄여야만 한다. 인텔사는 나노기술 발전에 힘입어 현재 반도체 회로의 선폭을 100nm(나노미터, 1nm=10-9m) 이하로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