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리
이유
사연
사유
도리
이론
시장가치
d라이브러리
"
논리
"(으)로 총 1,71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지능학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정보를 인지할 것인가를 연구한다.5. 어떤 학생을 원하나요?기본적으로 컴퓨터공학은
논리
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수학적인 사고방식에 능숙한 사람에게 적합하다. 더불어 인공지능은 컴퓨터공학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이 실현되는 학문이므로 창의적인 사고와 창조에 대한 ... ...
Part 1. 두근두근 새학기 시작! 그리운 옛 친구, 반가운 새 친구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다른 집합 사이의 관계를 보여 주는 그림으로, 관계가 한눈에 쏙 들어온다는 장점이 있어
논리
학의 발전에도 큰 공헌을 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으로 푸는 두근두근 새학기 PART 1 두근두근 새학기 시작! 그리운 옛 친구, 반가운 새 친구PART 2 정신없다, 새학기 준비! 나란히~ 나란히~ 키 ... ...
끝이 없는 신비의 수, 무리수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오랜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왜냐하면 수학에서 어떤 개념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논리
적인 증명이 뒷받침돼야 하기 때문이다. 고대 바빌로니아인들과 피타고라스가 오래 전 이미 ‘무리수’의 존재를 알았지만 19세기가 돼서야 무리수를 인정한 것처럼 말이다. √는 라틴어로 뿌리(radix)를 뜻하는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논리
만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없다”고 분석한다. 그는 “인공지능을 예로 들면
논리
와 수학만으로 인간을 능가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며 “인간 지능을 위대하게 만드는 것은 어디까지나 상상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인간의 뇌에 대한 근본적인 구조를 따라잡는 ... ...
우울과 몽상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이 두 문장도 모순입니다. 무리수는 분수로 나타낼 수 없는 수거든요.사건을 추리할 때의
논리
도 수학과 비슷합니다. 동시에 참이 될 수 없는 주장이 두 개 있다면 둘 중 하나는 거짓이 분명합니다. 거짓인 주장을 하나씩 없애 가다 보면 사건의 진상이 드러나겠지요.변하지 않는 확률예를 들어 ... ...
병문고 천하대특별반 수학도사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반복에 반복에 반복을 해야 한다고 외치는 선생님이에요.”차기봉 선생님의 교육방법은
논리
적으로 따지지 않고 무조건 공식을 외우고 문제를 많이 푸는 주입식 교육이야. 이 방법으로 공부해도 성적이 오르는 것은 맞아. 하지만 풀어 본 유형 외에 다른 유형의 문제나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제는 ... ...
막힌 도로를 뚫어 주는 신기한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재미를 느낀 건 대학원에서였어요. 석사 과정에서 어려운 수학을 공부하다 보니 문제를
논리
적으로 풀어나가는 재미를 느낄 수 있었죠. 그 이후로는 무슨 공부를 해도 어렵게 느껴지지 않았지요.”학창 시절에는 수학을 암기 과목처럼 공부했다는 의외의 답변이 나왔어. 그래도 대학원에서 수학을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포호정책을 시행하기 시작했다. ‘백성을 위해 해를 없앤다’는 의미의 ‘위민제해’
논리
에 따라 민족의 영물로 여겨졌던 호랑이를 흉악한 짐승인 ‘악수(惡獸)’로 규정했다.이 같은 ‘호랑이 몰아내기 운동’으로 한반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서식하던 호랑이의 개체 수는 급격히 감소했다. 이어 ... ...
발명왕 ‘떡잎’부터 알아보고 키우는 창의발명캠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제공하면, 청소년들은 서로의 의견을 말하고 토론한다. 그리고 과학적인 증거와
논리
를 내세워 배심원들을 설득한다. 이번에 참고자료로 실렸던 기사는 과학동아 2009년 9월호의 ‘신종 플루 팬데믹 공포, 한반도 피해는 이제 시작!’과 더사이언스 2009년 11월 5일자 ‘발빠른 바이러스는 독하지 ... ...
수학적 사고력, 말도 잘 한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생각하게 됐죠. 물론 사람에 따라서 훈련이 필요하기도 하겠지만요.사회에서는
논리
적이고 체계적인 사람을 원한 것 같아요.”한 아나운서의 이런 성향 때문이었을까요? 정돈된 말로 짧은 시간 안에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아나운서라는 직업이 매우 잘 어울렸어요.“뉴스나 교양 프로그램을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