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10월 7일부터 3일간 발표된 노벨 과학상 수상자는 세 개 부문에서 각각 세 명의
공동
수상자를 배출했다. 생리의학상은 세포가 산소 수준의 변화를 감지하고 적응하는 메커니즘을 밝힌 의·과학자들에게, 물리학상은 물리 우주론의 토대를 마련했거나 주계열성을 도는 행성을 처음으로 발견한 ...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명확히 알 수 있다. 문 교수는 “향후 의료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국내외 의료진과
공동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 교수는 최근 암을 진단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암세포 식별 연구도 시작했다. 폐나 대장, 신장 등 신체 장기에서 발현되는 암세포는 각각 서로 다른 단백질 지표를 ... ...
몬스터는 억울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여성 줄리아 파스트라나예요. 지난 2009년 중국의학과학원과 베이징연합의과학대학교
공동
연구진은 선천적 전신성 다모증에 걸린 사람들은 17번 염색체에 결함이 있다는 점을 밝혀냈어요. 선천적 전신성 다모증이 있는 가족과 이 증상이 없는 친척들의 게놈을 비교 분석한 결과지요. 늑대인간 ... ...
[과학뉴스] 스스로 소리 내는 탄소나노튜브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랭커스터대와 옥스퍼드대 등
공동
연구팀이 외부 자극이 없어도 진동할 수 있는 나노 전자회로를 만들어 국제학술지 ‘네이처 물리학’ 10월 14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기타 줄보다 10만 배 얇은 지름 3nm (나노미터·10억분의 1m)인 탄소나노튜브를 만들어 일정한 전압을 걸어준 뒤 전기저항의 변화를 ... ...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편집자 주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우주론과 행성 연구 등 두 분야의 연구자가
공동
으로 수상했다. 이에 따라 해설 기사도 두 분야로 나눠 싣는다. ‘태초의 빛’을설명해 내다 천문학계에서는 빅뱅 후 38만 년 뒤 분리돼 온 우주에 깔린 태초의 빛을 우주배경복사(CMB)라고 부른다. 우주론과 ... ...
모스크바에 현지사무소를 열다 나로호 설계 본격 스타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날씨가 쌀쌀할 때는 그 시절 러시아 출장이 특히 생각난다. 밤에 버스를 타고 퇴근해
공동
숙소에서 한국 음식을 만들어 먹던 순간들, 출근을 하지 않는 주말에는 족구를 하며 스트레스를 풀던 순간들. 이 모든 순간들이 모여 나로호의 성공을 만들어내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조광래 1988년 ... ...
[수학뉴스] 드론과 적분으로 고래 무게 측정한다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무게는 어떻게 잴까요? 최근 덴마크 오르후스고등연구소와 미국 우즈홀해양연구소
공동
연구팀이 드론과 적분을 이용해 고래 무게를 재는 방법을 찾았습니다.연구팀은 숨을 쉬기 위해 수면 위로 뛰어오르는 남방긴수염고래 86마리를 드론으로 여러 각도에서 촬영했습니다. 그런 뒤 몸을 곧게 편 ... ...
[폴리매스 프로젝트] 11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온라인에서 댓글로 아이디어와 풀이를 올려 힘을 합쳐 수학 문제를 푸는 수학
공동
연구 프로젝트입니다. 폴리매스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다면 폴리매스 홈페이지 polymath.co.kr 에 접속해 보세요! 세상의 비밀을 밝히는 열쇠 ‘소수’이번에 코딩으로 정복해 볼 수학 개념은 ‘소수’예요. 소수는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만나자고 했다. 그렇게 서멘자 교수와의 인연은 시작됐다.그동안 필자와 서멘자 교수는
공동
연구자로서 10년 넘게 서로 도움을 주고 받아왔다. 단순히 온라인에서 연구에 관한 이야기를 주고받는 수준이 아니라, 서멘자 교수의 연구팀과 필자의 연구팀이 함께 랩 미팅을 진행할 정도로 친밀한 관계를 ... ...
[수학뉴스] 정수보다 작은 수 체계에서 쌍둥이 소수 추측은 참?!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수학과 교수와 마크 슈스터만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캠퍼스 수학과 교수의
공동
연구팀은 ‘유한체’를 이용했습니다. 유한체는 정수보다는 작은 수 체계로 정수의 성질을 닮았지만, 정수와 다르게 원소의 개수가 유한 개입니다. 유한체에서 쌍둥이 소수 추측은 다항식에 관한 문제로 표현할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