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심
주의
한계
범위
감시
국경
통제
d라이브러리
"
경계
"(으)로 총 1,676건 검색되었습니다.
삑~! 자연재해 경보 발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지층이 끊어지면서 엄청난 에너지가 분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판이 서로 맞닿아 있는
경계
에서는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간혹 화산 폭발로 인해 지진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지진이 일어나는 원인은 판의 움직임에서 찾을 수 있다.지진, 미리 알 수는 없을까?우리는 종종 지진이 일어나 많은 ...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its cover(책 표지만으로 책 내용을 판단하지 말라).”외형만으로 내용을 판단하는 행태를
경계
하는 서양 격언을 비웃기라도 하듯 현대 사회에는 외모지상주의가 날이 갈수록 더욱 커져 가는 느낌이다. 소개팅에 나간 자리에서 몇 분 만에 상대방에 대한 호감도를 판단하는 일은 고사하고, 사진만 보고 ... ...
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않지요.”그러고 보니 매끄럽게 정상으로 올라간 게 아니라 정상 바로 아래 단절된
경계
면이 있다.이번에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면적은 628,987m2로 오름 정상 주변까지도 포함됐다. 최 박사는 “물장오리오름에는 좁은 면적임에도 불구하고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인 산작약 뿐만 아니라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붙어 있었다.문득 북쪽에 살고 있는 우리 동포들 생각이 났다. 한반도는 그 어디에도
경계
가 없는 하나의 땅덩이인데, 북쪽의 동포들은 내가 우주에 와있다는 사실을 알까. 그곳에도 우주에 날아오르기 위해 밤을 새우며 연구하는 과학자가 있을까. 그들도 우주를 꿈꾸고 있을까.북한에도 나처럼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1980년 발표된 한 논문이다. 미국의 월터 알바레츠 교수는 백악기와 신생대3기 사이의
경계
가 되는 6500만 년 전 어느 순간 전 세계적으로 이리듐의 지질층이 형성됐음을 밝혔는데, 이는 커다란 소행성이나 혜성이 지구와 충돌했음을 의미하며 이 충돌로 공룡을 포함한 수많은 생명이 멸종됐다는 ... ...
[물리]빛이 꺾이는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빛이 방출되고 있다. 만일 방출된 빛이 공기 중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공기와 액체 II의
경계
면 위에 불투명한 원판을 놓을 때 원판의 반지름이 최소 얼마가 돼야 하는지를 a, b, n1, n2로 표현하라. (단 공기의 굴절률을 1로 한다.) 전문가 클리닉 스넬의 법칙을 이용해 전반사가 일어나기 위한 조건을 ... ...
표면장력이 지배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윗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작용하는 힘 중 변화하는 힘은 표면장력뿐이다. 표면장력(Fs)은
경계
면에서 힘의 크기와 방향이 바뀐다. 질량이 증가하면 중력이 증가하고 θa의 크기가 커지면서 접촉면을 위쪽방향으로 끌어 올리려고 작용하던 표면장력의 수직성분(Fscosθa)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질량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부정합 면이 될 수 있는 곳은 응회암과 사질셰일 사이의
경계
인 지층 C의 ⑩번이다. 부정합 면은 지질시대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쓰이기도 한다 ... ...
[물리]유체의 운동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피스톤을 빼낸 뒤 물을 채우고 그림과 같이 수직으로 세웠다. 그러자 두 파이프의
경계
면을 기준으로 높이 h만큼 물이 채워졌다. 이때 수면이 내려가는 속도 v를 h에 대한 함수로 나타내라. 전문가 클리닉 문제 2)의 상황에서 어떤 부분이 바뀌었는지 생각해 봅니다. 피스톤으로 가해지던 힘이 채워진 ... ...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언어 잘 배우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부족하면 4년 내내 고생한다”며 영어몰입으로 다른 과목에 소홀해지는 현상을
경계
했다.“일본은 번역이 워낙 잘 돼 있어 이공계 분야 대부분이 대학졸업 때까지 일본어 책만 봐도 충분히 공부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일본의 과학기술이 세계수준에서 떨어지는 건 아니죠.”KAIST 수학과 한상근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