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감수"(으)로 총 1,511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금메달의 비밀은 ◯◯?! 평창 동계 올림픽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나는야 개 올림픽 스켈레톤 금메달리스트, ‘미끄러지개’야.2월 9일부터 평창에서 열리는 동계 올림픽에 숨겨진 비밀이 있다기에 경기장을 찾았지.숨겨진 비밀이 대체 뭘까? 자세히 알아봐야겠어!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금메달의 비밀은 ◯◯?! 평창 동계 올림픽Part 1. 평창 동계 ... ...
- Part 2. 얼음을 지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컬링 기록을 좌우하는 브룸“얼음을 긁어내는 브룸을 사용하지 않겠습니다.”2015년, 캐나다 컬링 선수팀은 올바른 브룸만 사용하겠다는 선언문을 웹사이트에 올렸어요. 이에 34개 컬링 팀이 동참했지요. 브룸은 컬링 선수들이 얼음을 문질러 닦을 때 사용하는 도구예요. 컬링 스톤이 지나가는 ... ...
- Part 5. 평창 동계 올림픽, 로봇 올림픽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얼음과 장비, 날씨까지…. 인간들의 올림픽에 숨겨진 비밀은 바로 과학이었나 봐. 그런데 저기 저 사람…, 뭔가 특별해 보여. 아니, 가까이에서 보니 사람이 아니라 로…, 로봇? 올림픽 현장 곳곳에서 만날 수 있는 로봇들평창 동계 올림픽에는 또 다른 별명이 있어요. 바로 ‘로봇 올림픽’이에요. ... ...
- Part 3. 빙하를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로봇과 드론을 보내 빙하를 감시하라!빙하를 구하려면 빙하가 어떻게 변하고, 녹고 있는지를 알아야 해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빙하의 변화를 감시하고 있어요. 최근 미국 워싱턴대학교 응용물리학 연구소 연구팀은 ‘씨글라이더’와 ‘EM-APEX’라는 잠수 로봇을 개발해 남극 ... ...
- Intro. 인공지능으로 씽씽! 스키 로봇 챌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스키 선수가 눈보라를 일으키며 슬로프를 멋지게 내려오고 있어요. 깃발 사이를 요리조리 피하면서 자유자재로 스키를 타고 있지요. 그런데 스키를 타고 있는 건 다름 아닌 로봇이에요! 이런 거짓말과도 같은 일이 2월 강원도에서 열리는 ‘스키 로봇 챌린지’에서 펼쳐져요. 어떻게 로봇이 스키를 ... ...
- Part 2. 스키 로봇 챌린지의 도전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번 대회에는 우리나라의 총 8개 팀이 참가해요. 첫 대회인 만큼 각 팀이 가진 독특한 아이디어가 돋보일 것으로 기대되지요. 스키 로봇 챌린지의 참가 선수들을 먼저 만나 볼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인공지능으로 씽씽! 스키 로봇 챌린지Part 1. 로봇들의 겨울 축제, 스키 로 ... ...
- Intro. 잠수 로봇부터 인공 빙하까지! 빙하를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아빠! 어디 가?”안녕. 나는 새끼 북극곰이야. 가족과 함께 먹이 사냥을 하러 나왔지. 그런데 오랜만에 나와서 그런가? 여기저기에 얼음이 녹아 물웅덩이도 고여 있고 어쩐지 빙하가 많이 줄어든 것도 같아. 그나저나 아빠가 먹이를 구해오겠다고 앞장 서 가셨는데….헉! 갑자기 얼음 덩어리가 부 ... ...
- Part 1. 빙하의 수난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거대한 얼음 덩어리, 빙하!푸른빛을 띠는 거대한 빙하를 보면 감탄이 절로 나와요. ‘빙하’란 육지 위에 눈이 오랫동안 쌓여 다져진 얼음층을 말해요. 그렇다면 빙하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고산지대나 극지방은 매우 추워서 겨울철에 내리는 눈의 양이 여름에 녹는 양보다 많아요. 그럼 눈이 수 ... ...
- Part 5. 빙하를 직접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인공 빙하를 만들어라! 아이스 스투파 프로젝트인도의 라다크 지역은 높이 2700m~4000m의 히말라야 산맥에 위치한 마을이에요. 겨울 온도가 영하 30℃나 되는데 연간 강수량은 100mm에 불과하답니다. 이 마을 사람들이 유일하게 물을 얻을 수 있는 곳은 빙하예요. 그런데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 ...
- Part 3. 로봇이 스키를 타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사람도 스키를 처음 배울 땐 넘어지기 일쑤예요. 미끄러운 눈 위에서 중심을 잡는 일이 쉬운 게 아니지요. 그런데 어떻게 로봇이 스키를 탈 수 있는 걸까요? 최초의 휴머노이드는 일본 와세다대학교 가토 이치로 교수팀이 1973년에 만든 ‘와봇 1호’예요, 두 발로 걸을 수는 있었지만 몇 걸음이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