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d라이브러리
"
시스템
"(으)로 총 3,51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대한민국 영재들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1105
학업에만 매달리다보니 오히려 공부의 의미를 찾지 못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산업및
시스템
공학과 서지인(08학번) 씨는 “고등학생들은 원하는 대학에 들어가겠다는 단순한 목표로 공부를 하기 때문에 쉴 새 없이 집중할 수 있다. 하지만 대학생이 되면 구체적인 꿈을 향해 노력해야 한다. 대학 과정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05
응력이 쌓여 있던 곳에 도달하면 또 다른 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
시스템
공학과 교수는 이런 이유로 “큰 지진 후에는 지진이 연쇄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과학동아 2010년 4월호 시사기획 참고).따라서 규모 6.0 이상의 지진은 화산 분화를 유발할 수 있다. 박 ... ...
마이클 잭슨 죽인 수면마취제 프로포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05
있지만 향후 이 약물의 남용자를 막기 위한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프로포폴 관리
시스템
은 프로포폴 중독자 발생을 낮출 수 있는 강력한 도구다. 새로운 프로포폴 의존성 환자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정책도 연구해야 한다.[프로포폴을 대신할 새로운 마취제가 나오지 않는다면 병원에서는 ... ...
지식산업 밝힐 경영과학의 길
과학동아
l
201105
등 스마트폰용 QR코드를 이용하면 제조 통합 및 자동화 연구실에서 구현한 무선인식
시스템
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경영과학, 제조업을 넘어 지식산업으로“우선 기존의 기업 관리용 소프트웨어의 문제를 살펴봤습니다.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 요소가 지나치게 많다는 걸 알았죠.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05
포획하는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연구에서 식물에서 영감을 얻은 인공광합성
시스템
개발까지 발걸음이 분주하다. 과연 화학은 환경과 에너지 위기에 빠져 있는 지구를 구하는 ‘녹색 해결사’가 될 수 있을까. 21세기 화학, 녹색 옷으로 갈아입다32011년은 유엔이 선포한 ‘세계 화학의 해’다. ... ...
ERP/SCM공학
과학동아
l
201105
기업이 경쟁력을 갖추려면 무엇보다 생산성이 중요하다. 산업공학과에서는 제조업이 성공하기 위한 다양한 경영 기법들을 찾는다. 그중에서도 ERP/SCM공학은 국제 ... 졸업생들은 삼성전자, 하이닉스, 현대자동차 등에 진출해 국내 대기업의 기본적인 생산
시스템
을 설계하고 관리할 수 있다 ... ...
[수학이 만드는 미래 세상] 미래인터넷, 수학으로 새판 짠다
수학동아
l
201105
취미와 관련된 내용을 보여준다. 이는 상황을 인식하는 장치 덕분에 가능하다. 이
시스템
은 네트워크 도움 없이도 구축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차원에서 구축하면 사용자가 어디를 가든지 자신에게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항상 인터넷에 접속하기 때문에 회사나 학교 등 장소가 바뀌어도 ... ...
Part 2. 똑똑해서 슬픈 베르테르들
과학동아
l
201105
해온 사업가 등도 마찬가지다.비슷한 이야기를 카이스트 재학생들도 토로했다. 산업및
시스템
공학과 서지인씨는 “1학년 때 난생 처음 받아보는 ‘안 좋은 성적’에 무척 당황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서 씨는 “당시는 많이 힘들었지만 결국 스스로 이겨냈고, 지금은 오히려 한계에 부딪쳤을 때 ... ...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l
201105
궤도나 돌도록 내버려 두는 경우도 많다. 연료는 떨어졌지만 태양광으로 충전되는 전력
시스템
은 살아 있어서 아마추어 통신용 등으로 목적을 바꿔 사용되는 경우도 간혹 있다.하지만 수명이 다한 정지궤도 위성은 그냥 내버려두면 다른 위성에 큰 피해를 주게 된다. 보통 연료를 조금 남겨 뒀다가 15 ... ...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
과학동아
l
201105
막대세포와 원뿔세포가 아닌 제3의 광수용세포가 존재한다면 포유동물에서도 그런
시스템
이 존재하지 않을까. 1988년 미국 버지니아대에 자리를 잡은 포스터 교수는 이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rd라는 돌연변이 쥐를 갖고 실험을 했다. rd쥐는 광수용세포에서 발현되는 한 효소에 문제가 생겨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