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장
글월
작문
문자
글짓기
글씨
원고
d라이브러리
"
글
"(으)로 총 10,999건 검색되었습니다.
계획 없이 하는 공부는 이제 그만!
과학동아
l
201005
자신의 꿈도 모르고 공부만 하는 한심한 아이가 되고 싶지는 않아요”라고 자기 소개
글
을 보내온 한 중학생. 성적은 반에서 10등 정도, 취미로 플루트를 배우고 있단다. 너무나 평범한 듯하지만, 과학동아 잡지를 무척 좋아하고 앞으로 이공계로 가고 싶은 마음만큼 은 뚜렷하단다. 그러면 ... ...
태평양을 넘어 하와이를 향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권영인 박사님은 산크리스토발 섬을 마지막으로 갈라파고스를 떠나 하와이*힐로로 가는 여정을 시작했어요. 33일간의 태평양 항해에서 권영인 박사님은 무엇을 보았을까요? 무사히 하와이에 도착했을까요? 함께 따라가 봐요.*힐로 : 미국 하와이 섬의 북동쪽에 있는 섬.갈라파고스의 산크리스토발 ... ...
수학천재 식물에게 배운다
수학동아
l
201005
화창한 5월, 오색찬란한 꽃들이 여러분을 맞이하고 있어요. 꽃에는 유명한 화가의 그림이나 값비싼 옷보다 더한 아름다움이 새겨져 있답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식물이 수학의 천재라는 사실이에요. 무슨 말이냐고요? 그럼, 우리 함께 식물 속 수학여행을 떠나 봐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 ... ...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
수학동아
l
201005
여러분은 수학을 배울 때 하나, 둘, 셋처럼 숫자부터 배웠죠? 숫자가 수학의 기초이기 때문입니다. 식물 속 수학에도숫자는 가장 기본이 된답니다.식물은 태어날 때 가지고 나오는 수에 따라 운명이 결정돼요. “될성부른 나무, 떡잎부터 알아본다”는 말을 들어 보았지요? 틀린 말이 아니에요. 씨앗 ... ...
나무그늘도 수학 실력
수학동아
l
201005
위에서 보면 8개와 13개의 나선을 확인할 수 있어요. 계속 보고 있으면 눈도 뱅
글
뱅
글
돌지 모르니 조심하세요. 파인애플의 껍질 모양도 마찬가지랍니다.식물이 왜 이런 피보나치 수열의 나선을 갖는지는 오랜 수수께끼였어요.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수학과 패트릭 쉬프만 교수는 수수께끼를 풀기 ... ...
식물에게 한 수 배우기
수학동아
l
201005
식물 속 수학여행 어땠나요? 매일 보던 식물이 수학천재라는 사실이 놀랍죠? 앞서 식물의 수학 실력을 깨달은 사람들은 식물에게 한 수 배우기로 했답니다. 수학 수업에 식물을 초대한 것이지요.텃밭에서 배우는 수학 미국에는 식물을 키우면서 수학을 배우는 프로그램이 있어요. 캘리포니아대학 ... ...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수학동아
l
201005
위아래 좌우 모두에서 ‘SANCTA’를 찾을 수 있어요. 또 ‘E’를 시작으로 아래로 7
글
자를 보면‘ECLESIA’을 찾을 수 있지요. ‘SANCTA ECLESIA’는 ‘신성한 교회’라는 뜻이에요. 이 단어가 몇 개나 있는지 한번 세어 보세요. 그 재미도 쏠쏠합니다. 중세의 미로는 미노타우로스가 갇혔던 미로처럼 길이 ... ...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수학동아
l
201005
그래프 이론이라고 들어 보셨습니까? 유한개의 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을 연구하는 학문이지요. 전 그래프 연구를하던 중 그 어떤 복잡한 미로도 그래프를 이용해 쉽게 길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 냈습니다. 고대 미로는 한붓그리기라는 말이 앞에서도 나왔지요? 한붓그리기를 누가 연구했 ... ...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05
쟁쟁한 5명의 후보들의 이야기 잘 들어 보았습니다. 각자가 서로 1위라고 자신할 만하군요. 심사위원들이 점수를 매기는 동안 미로에 일가견이 있는 제가 한마디 하겠습니다.미로하면 저는 가장 먼저 마이크로 마우스가 생각납니다. 제가 공대 출신이라 로봇에 대해 많은 연구를 했거든요. 내 손으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
수학동아
l
201005
18년 뒤인 1742년 스웨덴의 물리학자 셀시우스가 개발했다. 셀시우스의 한자 이름의 첫
글
자인 섭(攝)을 따서 섭씨온도라 부른다. 처음에는 물이 어는점을 100도로, 끓는점을 0도로 하고 그 사이를 100등분한 온도 체계였다. 뜨거울수록 온도가 낮아지는 셈이었다. 하지만 셀시우스가 죽은 뒤 지금과 같이 ... ...
이전
804
805
806
807
808
809
810
811
8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