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뉴스
"
위
"(으)로 총 9,159건 검색되었습니다.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15.03.26
시각장애인이 7차원까지도 상상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시각장애가 오히려 기하학이나
위
상수학 연구에 더 유리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시각장애인은 사물을 직접 만지면서 생김새를 상상한다. 러시아 수학자인 알렉세이 소신스키는 시각장애인이 일반인보다 3차원 이상을 상상하는 일이 ... ...
위
조 불가능한 ‘인공 미세지문’ 개발
2015.03.25
방식으로 지문 형태의 주름을 만들었다. 이 미세 주름을 여권과 시계에 붙여 실제로
위
조가 불가능하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박 교수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휴대용 현미경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으로도 인공 미세지문을 식별할 수 있다”며 “3년 내 실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두둥! 그래핀
위
에서 저절로 자라는 나노와이어 발견
2015.03.24
따라서 생긴 나노와이어(왼쪽)와 이를 확대한 모습. - UNIST 제공 특히 연구진은 그래핀
위
에 생성된 나노와이어를 이용해서 세계 최초로 ‘그래핀 나노리본’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래핀 나노리본이란 평면 형태의 그래핀 표면을 폭이 10nm 정도인 좁은 띠 형태로 만든 것으로 그래핀 자체가 ... ...
“과학자들이 먼저 준비, 정부 나중에 설득”
2015.03.24
우주 기술력을 입증했다. 시바쿠마 센터장은 “화성과 가장 가까워지는 날짜를 맞추기
위
해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승인 받기 전부터 망갈리안 개발에 착수했다”면서 “인도우주개발기구 과학자들이 자체 검토를 통해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한 뒤 정부를 적극적으로 설득해 망갈리안을 발사할 수 ... ...
환경부, 물 과소비 탈출… 물의 날은 하루가 아닌 1년 365일
동아일보
l
2015.03.24
만2000L의 물이 소요되며, 햄버거 한 개에도 2500L의 물이 필요하다”며 “우리나라는 세계 5
위
수준의 가상수 수입국이라 할 수 있다”고 했다. 우리 국민들이 하루 10%의 수돗물만 절약하더라도 연간 4000억 원이 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일상 생활에서 우리가 쉽게 물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은 어떤 ... ...
“우주에 ‘아폴로 플랜트’ 지으면 어떨까요”
2015.03.23
3학년 9명으로 이뤄진 ‘올림푸스(Olympus)’ 팀이 2
위
에 입상했다. 인간이 우주에 정착하기
위
해 어떤 기술이 필요한지 아이디어를 제출받아 심사하는 이 대회에서 국내 청소년 팀이 수상한 건 처음이다. “자는 시간을 줄여가며 하루 4~8시간씩 투자했어요. 각자 공부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 ...
DNA로 분석한 ‘유나이티드 킹덤(UK)’
2015.03.22
물체를 만들면서
위
로 들어올리는 방식이다. 이 방식을 이용하면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
해 기다리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보다 더 깔끔하게 제품을 뽑아낼 수 있다. 이전에는 한층한층 쌓아올렸기 때문에 표면이 거칠고 재료를 쌓아올린 티가 났다. 물체를 액체 속에서 뽑아내는 ... ...
해부학, 이제 스마트폰으로 공부하세요~
2015.03.22
담아낸 뒤 우리은하를 넘어 안드로메다은하 등의 별빛까지 포착했다. 한편 적경과 적
위
로 표시한 천구상의 좌표 정보와 시상과 투명도 등 하늘의 환경, 또 카메라와 노출 시간 등의 상세한 설명도 함께 실어 별을 사랑하는 독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 ...
[2020 미래 바이오 전략] 줄기세포 치료제 시장, 한국이 선점 나섰다
2015.03.20
치료제 5종 가운데 4종이 한국산.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용 임상 연구는 총 50건으로 세계 2
위
. 2015년 현재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에서 한국이 거둔 성적표다. 김흥열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은 “2005년 황우석 사태 이후 10년간 국내 줄기세포 연구가 주춤한 것처럼 보였지만 성체줄기세포를 활용한 ... ...
라면 먹다 김서림, 이젠 안녕!
2015.03.20
때문에 초친수성이 된 유리 표면
위
에는 반구형의 물방울이 맺히는 일반 유리(왼쪽)과 달리 물이 얇게 펼쳐진 물막이 형성돼 김이 서리지 않는다(가운데). 나노돌기를 만든 유리에 코팅을 하면 초소수성 표면이 돼 물이 아예 달라붙지 못한다(오른쪽). 물이나 기름 등 이물질이 묻지 못하는 초소수성 ... ...
이전
802
803
804
805
806
807
808
809
8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