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315건 검색되었습니다.
보라색 몸통에 커다란 눈을 가진 주머니귀오징어
2016.08.30
위의 이 주머니귀오징어를
발견
한 것입니다. 연구원들은 이처럼 사랑스러운 생명체를 또
발견
하게 될 것을 기대하며 불모지인 바다 깊은 곳을 계속해서 탐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 ...
‘이거 진짜 버려야 해?’...유통기한 지난 것들의 재
발견
!
2016.08.29
추구하는 신세대라면 유통기한 지난 것들도 꼼꼼하게 따져보세요. ‘철 지난 것의 재
발견
’ 분명 새롭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테니까요! 환경도 살리고 트렌디한 라이프스타일까지 두 마리의 토끼를 한번에 잡는 똑똑한 생활을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요? ... ...
의협 “콜레라, 국내 집단 발생 위험 매우 낮아”
포커스뉴스
l
2016.08.29
의협 관계자는 “국내에서도 최근까지 환자 발생은 없었지만 해안에서 콜레라균은 계속
발견
되고 있었다”며 “때문에 선진국에서도 해수면의 온도가 높은 시기에 콜레라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먹은 사람에게 산발적으로 콜레라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콜레라 환자와 밀접하게 ... ...
300년 고택에서 만난 전통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6.08.29
어떤 크기의 창문이 우리에게 가장 편안할지 알고 계셨던 거지요. ● 과학으로 재
발견
한 우리의 고택 이번 취재는 윤증 선생의 13대 후손인 윤완식 선생님의 설명으로 진행됐는데요, 선생님의 설명이 끝난 뒤에도 문화재지킴이 기자단의 질문은 끝날 줄 몰랐어요.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 ...
지각구조 이해할 새 도구 찾았다… ‘폭풍 지진파’ 첫 탐지
동아사이언스
l
2016.08.28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는 ‘날씨 폭탄(waether bomb)’으로 불리는 거대한 북대서양 폭풍 사진이 장식했다. 하늘에서 내려다 본 폭풍의 모 ... 교수는 “대부분의 지구형 행성이 수백 광년 거리에 떨어져 있다는 점에서 프록시마 b의
발견
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밝혔다. ... ...
묻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진실’
2016.08.27
차량 통행의 방해가 되지 않게 하고, 주인이 물건을 찾으려고 되돌아온다면 쉽게
발견
할 수 있도록 길가에 옮겨놓으면 될 텐데. 도로에 떨어진 이상 이제 물건의 주인은 따로 없다고 여긴 것일까. 그의 욕심에 혀를 찼다. 그러다가 또 다른 신호를 기다리며 생각했다. 어쩌면 그는 적극적으로 그 ... ...
‘어둠’ 속에서 사람은 왜 유령의 존재를 느끼나
2016.08.26
셀’ 6월호에 발표한 바 있다. 김 교수는 “이런 특징은 인간과 같은 포유류에게서만
발견
됐다”며 “공룡 등 파충류는 어둠 속에서 먹이를 찾기 어려웠지만 간상세포가 보다 진화한 포유류는 생존에 유리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갯벌세계의 大건축가 ‘가재붙이’를 아시나요
2016.08.26
파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개미집만큼 복잡한 서식굴, 국내서 처음
발견
서식굴은 갯벌 생물이 살아가기 위해 스스로 갯벌을 파고들어 가 만드는 집이다. 썰물 때 건조하지 않도록 바닷물을 담는 저장고 역할을 하고, 뜨거운 햇볕이나 천적으로부터 몸을 피하는 피난처 역할도 한다 ... ...
이걸 어떻게 먹어? 영국 군인들 불만 폭발
2016.08.26
뜯었다고 한다. 또 시커멓게 탄 고구마와 감자도 나왔다. 복숭아에서는 벌레 한 마리가
발견
되기도 했다. 한편 샌드위치에는 햄 한 장만 덩그러니 들어 있었다며 허탈한 배신감을 드러낸 군인도 있었다. 속이 썩은 사과, 건더기 없는 수프 등 영국 군인들을 화나게 만든 음식들은 종류도 다양했다. ... ...
[속초 영랑호] 영랑의 마음이 머무는 석호로의 여행
2016.08.25
개 석호 중에서 유일하게 호수 명에 사람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신라시대 화랑인 영랑이
발견
한 호수라는 의미에서 이름 지어졌지만, 그보다 그의 마음을 단숨에 사로잡은 호수라는 것이 더 의미가 크다. 가는 걸음을 멈추게 했고, 무술대회에 나가야 하는 것조차 잊게 했다. 그저 바라만 봐도 ... ...
이전
802
803
804
805
806
807
808
809
8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