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수학동아 l2011년 11호
- 3가지 방식에 대해 사람들이 원하는 층 버튼을 누르는 시간과 찾기 편한 정도를 조사한 결과, A 방식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10층 건물에서는 B 방식도 무난한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20층 건물에서는 B 방식이 C 방식보다 더 나쁜 평가를 받았다.20층보다 높은 건물에는 층 번호를 선택하는 방법이 ... ...
- 글리제581d, 생명이 살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1호
- 81의 주위를 도는 여러 행성 가운데 ‘글리제581d’의 기후를 시뮬레이션했지요. 그 결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고 바다와 구름, 비가 있을 만큼 기온이 온난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지금까지 태양계 바깥에서 발견된 행성 중에서 처음으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조건을 갖추었다고 밝혀진 거죠 ... ...
- 빙산은 남극 바다의 영양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남극 *빙붕에서 떨어져 나온 빙산의 90%가 모이는 지역을 조사했어요. 그 결과, 빙산이 녹으면서 해양 식물에게 서서히 철분을 공급하는 걸 알아냈지요. 특히 식물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하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죽으면 바다 아래로 가라앉는데, 이를 통해 탄소를 바다 밑에 저장하는 역할을 해요 ...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사진 공모전과 전시회를 열고 있고, 또 지구를 치료하기 위한 실천방법에 대해 탐구해 그 결과를 겨루는 ‘사이언스 챌린지’도 열고 있어요. 지구문제에 대해 다루는 국내외단체에서 대학생들이 직접 활동해 볼 수 있는 ‘RGB 창의원정대’도 있지요.특히 올해는 어린이 RGB 탐험대원을 뽑을 ... ...
- 4악장 - 악기 개성의 탄생과학동아 l2011년 11호
- 플로스 원)’에 냈습니다. 2010년에는 CT(컴퓨터 단층촬영)를 찍어 구조를 연구한 결과가 ‘사이언스’에 실리기도 했습니다. 음색의 미스터리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지요. 제 아름다움의 비밀을 너무 밝히려 하지 말고 그냥 감상해주세요.300여 년에 걸쳐 오케스트라가 ... ...
- 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알렉산드라가 하품을 했을 때 다른 붉은다리거북들이 하품하는지 보기 위해서였다. 실험 결과 하품은 전염되지 않았다.연구팀은 사람 사이에서 하품이 전염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로 ‘서로에게 공감하기 때문’을 들었다.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지능이 발달한 사람 ... ...
- 법정에 선 지진학자과학동아 l2011년 11호
- 허위로 만들거나 인위적으로 조작하고 왜곡하는 경우, 타인의 아이디어나 연구내용, 결과를 적절한 인용 없이 사용하는 표절의 경우, 부당한 논문저자 표시를 하는 경우, 그 밖에 과학기술계에서 통상적으로 용인되는 범위를 심각하게 벗어난 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연구윤리위반으로 제재를 하고 ...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미국 UC 버클리 연구진이 젊은 정상인과 노인의 뇌에서 도파민 합성능력을 분석한 결과 노인은 도파민 합성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졌다.도파민은 전두엽의 수행능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도파민은 아세틸콜린, 아드레날린, 세로토닌 같은 신경신호 전달 물질로, 뇌간의 흑질(해부학적으로 검은 ...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처음 연구를 시작한 것도 고통과 재활에 대한 연구였다.코미사룩 교수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 1951년 윌더 펜필드 캐나다 맥길대 신경외과 교수가 완성한 ‘감각 호문쿨루스’의 여성판을 만들었다. 사실상 첫 여성 ‘뇌감각지도’가 완성된 셈이다. 이 지도에 따르면, 적어도 대뇌 ...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것도 유전학적으로는 의미가 없습니다. 사회적인 구분일 뿐이에요.”칸 교수의 연구 결과는 여러 사람을 불편하게 했다. 지역별로 인종 차가 존재한다고 주장하던 사람들은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 하지만 수많은 후속 연구들 역시 칸 교수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최근 유전체(게놈) 연구에서는 ... ...
이전8018028038048058068078088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