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척
진전
전진
과정
진출
진보
순서
뉴스
"
진행
"(으)로 총 17,27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연구현장과 릴레이 소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찾아 간담회를 주재했다. 릴레이 간담회는 총 5회에 걸쳐 2월까지 순차적으로
진행
될 예정이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글로벌 트렌드 변화를 분석한 ‘코로나 이후 글로벌 트렌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부제는 ‘완전한 디지털 사회’로 코로나19 ... ...
코로나 1년, 과학자들이 그 누구보다 빨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보호할 무기를 갖게 됐다.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이달 14일까지 65개 백신이 임상을
진행
중이고, 최소 85개 백신이 동물실험에서 효능을 검증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과학자들의 반격이 이어졌다. 국내 첫 코로나19 연구결과는 오명돈 서울대 감염내과 교수팀이 국내 1번 환자의 증상과 치료를 ... ...
[한 토막 과학상식]화학연 연구팀 세계 최초 발견한 '나노입자 광사태 현상'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연구팀은 화학연 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연구팀과 전지 효율을 높이는 응용연구를
진행
하기로 했다. 광사태 나노입자가 전지가 흡수하지 못하는 근적외선을 흡수해 더 큰 에너지의 낮은 파장대로 방출시켜 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임신진단키트 형태의 바이러스 진단키트 ... ...
효과·안정성 미심쩍지만…
동아사이언스
l
2021.01.14
바라트 바이오테크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이다. 총 2만 2500명을 대상으로 임상 3상이
진행
중이고 최종 결과가 공개되지 않았으나 인도에서는 이미 긴급 사용이 허가된 상태다. 베누고팔 소마니 인도의약품관리국(DCGI) 의약품통제 책임자는 "사소한 것이라도 안전 문제가 있다면 어떤 백신도 ... ...
한국 코로나19 바이러스 개수 측정법 국제 공인 받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4
활동은 코로나19 라는 유례없는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긴급 국제비교 형태로
진행
됐다”며 “본 결과를 통해 표준연의 역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배영경 표준연 바이오분석표준그룹장은 “표준연이 갖춘 측정 역량으로 인류의 문제에 시의적절하게 대응할 수 ... ...
코로나19 입원환자 3개월 뒤 탈모·운동후 숨차
동아사이언스
l
2021.01.14
뒤 입원한 성인 환자 총 40명을 대상으로 3개월마다 검진과 설문조사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
됐다. 중간결과 발표에 따르면 3개월이 지난 시점에서는 탈모와 운동시 숨이 찬 증상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는 피로감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 ...
셀트리온 항체치료제 조건부 허가전 고령·고위험 환자에 투여
동아사이언스
l
2021.01.14
발생하지 않았고 증상 발생 초기 폐렴이 동반된 50세 이상 경증환자에 투여할 경우 중증
진행
을 낮추는 결과를 보였다”며 “이 결과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심사와 논문심사 과정에서 전문가 검증이 필요하며 대규모 임상 3상시험을 통해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장 소장은 ... ...
토종 코로나19 치료제 가시화…셀트리온 이어 줄줄이 대기(종합)
연합뉴스
l
2021.01.14
위한 러시아 임상 2상을 마무리했다. 중증 코로나19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
한 결과, 28일간 나파벨탄 투여군의 증상 개선율은 94.4%에 이르렀다. 같은 기간 표준 치료군의 증상개선율은 61.1%에 그쳤다. 종근당 관계자는 "외부 변수를 보정한 결과 나파벨탄의 치료 효과가 표준치료 대비 2 ... ...
나노물질이 빛 에너지 고효율로 증폭하는 '광사태현상' 첫 발견
연합뉴스
l
2021.01.14
향후 화학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연구팀과 함께 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응용 연구를
진행
할 계획이다. 광사태 나노입자를 활용하면 눈에 보이지 않는 근적외선을 흡수해 더 큰 에너지로 변환하고 전지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연구진은 광사태 나노입자를 활용해 살아 ... ...
렘수면 장애 환자에게서 파킨슨병 원인 단백질 축적 확인
연합뉴스
l
2021.01.14
렘수면행동장애 환자 가운데 4분의 3가량이 파킨슨병과 치매 등 신경 퇴행 질환으로
진행
됐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시누클레인이라는 단백질이 신경세포(뉴런)에 침착되면 파킨슨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 교수는 수면 장애가 없는 정상인의 위장관에서는 별다른 증상이 없었지만, ... ...
이전
800
801
802
803
804
805
806
807
8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