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파충류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출산한다.1종만 살아 남은 옛도마뱀옛도마뱀류는 뉴질랜드의 북쪽에 있는 30여개의
작은
섬에 살고 있는 데 옛도마뱀 1종만이 현재 남아 있다.수컷의 몸길이는 61cm, 암컷은 45cm다.이 종은 주로 낮은 지대의 삼림에서 땅굴생활을 하는 야행성 동물이다. 또 중생대에 서식하던 훼두목(喙頭目)의 유일한 ... ...
PART 5 마이크로마우스와 미로게임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1.8°모터의 경우 한바퀴 회전시키려면 스위치를 2백번 누르면 된다. 물론 스위치 조
작은
컴퓨터 처리부에서 고속으로 행한다.이러한 스테핑모터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 모터는 고속용으로는 부적당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힘이나 속도에 비해 무게가 많이 나가고 전력의 소모도 DC모터에 비해 ... ...
미지의 물질 구조를 알아낸다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있던 구조가 그렇지 않은 쪽보다 구조상의 차이가 작다.④ 깨진 조각의 크기가 크고
작은
것은 부수는 힘의 차이일 뿐 구조와 상관이 없다.4 진흙은 왜 미끄러울까?강이나 바다의 바닥에 만들어진 진흙은 매우 미끄럽다. 그 이유는 진흙에 포함된 운모성분 때문이라고 한다. 운모의 어떤 성분 ... ...
스페인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규율에 따라 진행되는 투우경기는 위원장의 흰 손수건에 의해 모든 것이 결정된다. 시
작은
물론이고 끝날 때까지의 흰 손수건은 모든 관중의 주목을 받는다. 훌륭한 경기를 치른 투우사에게 주는 상도 위원장의 흰 손수건에 의해 그 향방이 결정된다. 흰 손수건을 흔들면 투우사는 소의 귀 ... ...
유전공학의 관심사 「무서운 생명력」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살펴보면, 첫째 빠른 생장이다. 대부분의 잡초는 작물 종자에 비해 크기가 매우 작다.
작은
종자는 종자내에 갖고 있는 저장양분도 적으므로 빨리 발아해 생장을 촉진시켜야 경쟁관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둘째 대부분의 농경지 잡초들은 작물보다 빨리 성숙해 자손을 번식시키고 일생을 ... ...
유리를 둘러싼 한·일 공방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이르는 유리구슬이 나왔다.신라고분에서 나온 유리구슬들 중에는 지름 1.5mm 가량의
작은
것도 있다. 이 미니구슬은 색깔도 다양해 청 녹 황 적 갈색 등 아름다운 것들이 많다. 특히 유리곡옥은 한국 고대기술의 영향권 안에 있었던 일본지역에서만 출토되고 있다는 사실이 우리의 주목을 끈다 ... ...
PART 4 몸 안으로 들어가는 마이크로 로봇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투약할 수 있게 될 것이다.소형화 기술은 외과의사들에게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작은
규소 겸자(鉗子, 기관 등을 고정시키거나 압박하는데 사용되는 수술용구)와 고무관을 사용하면 현재의 기술이 한계를 드러냈던 부위, 곧 눈에 보이지 않는 혈관들을 다룰 수 있게 된다.또 광섬유관 보다 ... ...
작은
꼬인 빛 Tiny Twisty Light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잃어버린 질량의 신비"를 둘러싼 과학적 좌절이 크기 때문에 가능한 해결로 향한 가장
작은
발걸음에도 흥분할 수밖에 없다.Tiny Twisty LightOne of the greatest puzzles in astronomy is the "mystery of the missing mass." In January, some astronomers ...
인류 최초의 조상은 그리스에서 살았다?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유사점에 주목했다. 특히 이빨에 에나멜질이 두껍게 형성돼 있는 점과 어금니와
작은
어금니가 해부학적으로 비슷한 점이 눈길을 끌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둘사이의 선조-자손 관계를 확정짓기에는 자료가 부족했다.최근의 발견은 이런 점에서 의의가 크다. 얼굴과 위턱이 비교적 잘 보존돼 있어 ... ...
비타민에 얽힌 이야기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사는가. 살기위해 먹는가. 진부한 질문이지만 먹는 것이 인생에서 치지하는 비중은 결코
작은
것이 아니다. '식도락'(食道樂)이란 말도 있지 않은가. 우리가 먹는 음식물 속에는 극히 소량이지만 '없어서는 안될' 꼭 필요한 물질이 있다. 신맛이 나는 이 물질. 과학자들은 이 물질이 인간이나 동물의 ... ...
이전
800
801
802
803
804
805
806
807
8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