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d라이브러리
"
일
"(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런 문제가 해결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뇌세포의 미세소관을 양자 중첩이
일
어나는 곳으로 지목했다. 여기에 대한 주류학계의 반응은 냉랭하다. 양자 중첩이 인간의 의식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는 어떤 실험적 증거도 아직 없기 때문이다. 생명체 내에서 결맞음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 ...
INTRO. 노벨과학상 2014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영예를 안았는지 살펴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
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생리의학상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EPILOGUE ... ...
PART 1.
일
본 노벨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과학자들이 오히려 대단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
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생리의학상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EPILOGUE ... ...
EPILOGUE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시간이 꽤 걸릴 것 같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
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생리의학상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EPILOGUE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촉각을 세우고 있다. Y가 완전히 사라진 이상 언제 어디서 어떤 문제가 터질지 모르는
일
이다. 시한폭탄 같은 하나의 성(性) 수백만 년 전부터 인류의 성별에 관해 이상 징후가 감지됐다. Y 염색체에 있던 유전자가 다른 염색체로 이동하면서 남성도 여성도 아닌 애매한 돌연변이들이 나타나기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타이머 기능을 제공한다.기자가 만난 보안전문가들에 따르면 카카오톡의 대책은
일
단 꽤 훌륭한 것 같다. 대책대로만 진행되면 텔레그램보다 더 안전한 메신저가 될 수 있을 듯하다. 그러나 이것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된 건 아니다. 미래에는 비밀의 방마저 뚫는 기술이 나오지 않을까. 거꾸로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우리에게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다만 “장기간에 걸친 정부 지원, 인재들이 모
일
수 있게 만든 환경”을 망갈리안의 성공요인으로 꼽은 최 실장의 답변은 새겨봄직하다. 정부는 6년 후인 2020년 달 탐사선을 보내겠다는 청사진을 그렸다. ‘안 되면 되게 하라’보다는 ‘천리 길도 한 ... ...
[career] 기숙사에서 매
일
열리는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좀 더 국제화된 분위기에서 학교를 다니고 싶어 KAIST로 왔다”고 말했다. 그녀는 월요
일
마다 종편 jTBC의 예능프로그램 ‘비정상회담’을 즐겨본다.“우리 기숙사에서 나오는 이야기도 ‘비정상회담’이랑 아주 비슷해요. 차는 몇 살에 몰아도 될까, 술은 얼마나 먹어도 될까, 담배는, 연애는….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표정, 포즈에 상관없이 프로그램이 작동한다. 심지어 나뭇가지나 잎, 다른 동물에 얼굴
일
부가 가려도 문제없다. 보안이나 범죄자 추적을 위해 개발됐던 생체인식 기술이 생태연구로 넘어가 동물식별에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다음 장 참조)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발표장에는 200석 규모의 강의실에 발 디딜 틈이 없었다. 그의 연구팀이 ‘네이처’ 5월 28
일
자에 인간프로테옴의 첫 번째 밑그림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팬디 교수팀은 성인 조직 17개와 태아 조직 7개, 혈액을 만드는 조혈모세포 6개 등을 분석해 단백질을 만든다고 알려진 유전자의 약 84%에 해당하는 ... ...
이전
797
798
799
800
801
802
803
804
8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