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793건 검색되었습니다.
단국대 치대, 3D 프린터로 찍어낸 개인맞춤형 임플란트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단국대 치대 박종태 교수팀이 3D 프린터를 이용해 개인맞춤형 인공 치근 모듈을 개발했다. 단국대 제공 단국대 치대는 박종태 교수 연구팀이 3D 프린터 개발 전문업체인 센트롤과 함께 최근 '개인맞춤형 인공 치근모듈'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개인마다 다른 치아 공간에 꼭 들어맞도록 인공 치 ... ...
[뉴스룸]과학기술계가 정말 일자리 만들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아닐까. ‘전자제품’에 가까운 전기차와 달리, 수소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와 비슷해
기존
자동차 산업의 일자리를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다는 자동차 전문가의 말도 어른거렸다. 수소만이 아니다. 최근 정부에서 발표하는 각종 사업 자료를 보면 ‘일자리 창출’이 상투어처럼 붙는다. 일자리가 ... ...
소리 쏘아 세포의 말랑함 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세포가 유사분열에 들어가면 세포가 분열을 준비하며 팽창하다 강성이 줄어드는 것 같은
기존
에 알려진 사실들을 이 기술로 확인할 수 있었다. 20분 가까운 세포의 분열과정에서의 세포 강성 변화도 측정할 수 있음도 보였다. 강 연구원은 “이 기술은 피층 속 액틴 단백질의 움직임을 단백질 ... ...
KIST연구진, 세계 최고 수준의 독가스 제거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개발된 촉매 소재는 화학무기의 독성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며 “
기존
의 제독제와 함께 사용하면 화학무기에 사용되는 고위험성 화학물질로부터 더욱 능동적으로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으로 ... ...
'먹이 찾아 17㎝' 최초의 다세포 생물 21억년 전 첫걸음 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화석으로, 이번 화석은 이보다 15억 년 앞섰다. 진핵생물이 등장한 시점도 앞당겨졌다.
기존
에 가장 오래된 진핵생물 화석은 18억 년 전 화석으로, 3억 년 앞당겨졌다. 연구팀은 21억 년 전 갑작스럽게 진핵생물이 등장하고 이동까지 가능해진 데에는 산소의 공이 컸다고 봤다. 당시 급격히 증가한 ... ...
움직이는 쥐의 뇌 반응 실시간으로 읽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쥐에는 적용할 수 없었는데 이런 한계를 극복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뇌를 자극하는
기존
방법에는 뇌의 특정 영역을 미세 자극할 수 있는 심부뇌자극술(DBS)과 광(光)유전학 기반의 광 자극이 있었지만 침습 방식이어서 임상 적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경두개전기자극술(TES)과 경두개자기자극술 ... ...
DGIST 학부생, 네발로 가다 뱀처럼 기는 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틈새같은 장애물을 만나면 납작 엎드려 꼬물꼬물 기어가게 된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기존
4족 보행 로봇이 통과할 수 없는 장애물을 넘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로봇이 뱀처럼 기어가게 하기 위해 뱀의 움직임을 분석해 다리가 마치 뱀처럼 움직임을 갖도록 했다. 로봇은 다리의 움직임을 이용해 ... ...
수소경제 구현 수소 생산·저장 연구과제 공모…올해 121억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연구사업 내용과 기업의 의견 등을 고려해 이번 집중투자 분야를 선정했다”며 “
기존
에 개발된 요소기술을 종합해 고도화하는 게 이번 사업의 목표”라고 말했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우리나라가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력 강화가 반드시 ... ...
연료전지 촉매 가격 10분의 1로 낮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값비싼 귀금속을 쓰지 않고 높은 안정성을 가진 연료전지 촉매를 개발해 가격을
기존
대비 10분의 1로 낮추는 데 성공했다. 이 촉매로 만든 연료전지는 1만 회 반복 사용해도 성능이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세대 수소자동차 개발의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 ...
양자역학이 지배하는 ‘나노세계 힘’ 측정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세워 울퉁불퉁한 표면을 흉내냈다. 그 뒤 헬륨 원자를 강하고 빠르게 쏘았다. 이 때
기존
의 대부분의 물질 측정 기술과 달리, 물질 표면에 수직이 아니라 거의 표면과 수직이 되게 비스듬하게 쏘았다. 주기를 갖도록 사각형을 세운 울퉁불퉁한 평면에서 일어나는 물질파의 회절 현상을 그렸다. ... ...
이전
796
797
798
799
800
801
802
803
8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