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american"(으)로 총 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삶이 허무하지 않고 '의미있다'고 느끼게 할 수 있는 3가지 방법2017.10.06
- promoting behaviors. PLoS one, 11, e0167464. Heintzelman, S. J., & King, L. A. (2014). Life is pretty meaningful. American Psychologist, 69, 561-574. Hicks, J. A., Trent, J., Davis, W. E., & King, L. A. (2012). Positive affect, meaning in life, and future time perspective: An application of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Psychology and Aging, 27(1), 181-189. King, L. A., Hicks, J. A., ... ...
- 영웅적인 행동도 여성이 하면 과소평가 된다?2017.05.27
- for women worldwide. New York: Alfred A. Knopf. Becker, S. W., & Eagly, A. H. (2004). The heroism of women and men. American Psychologist, 59, 163-178.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 ...
- 권력을 얻은 사람이 부도덕해지는 까닭은?2017.02.26
- 6797612472910. Diener, E. (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 34-43. Galinsky, A. D., Magee, J. C., Gruenfeld, D. H., Whitson, J. A., & Liljenquist, K. A. (2008). Power reduces the press of the situation: Implications for creativity, conformity, and disson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5,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2017.02.21
- 파리지옥이 있다는 것. 실제 코난 도일은 1880년 이를 소재로 한 단편 ‘미국인 이야기(The American's Tale)’를 발표했는데, 여기에 등장하는 거대 파리지옥은 포충엽의 지름이 3m에 이른다. 미국의 저널리스트 제임스 부엘은 1887년 발표한 책 ‘바다와 육지’에서 중미에 있는 식인나무 야테베오를 ... ...
- [지뇽뇽의 色수다] (ep3) 키스의 과학2016.12.11
- Jankowiak, W. R., Volsche, S. L., & Garcia, J. R. (2015). Is the Romantic–Sexual Kiss a Near Human Universal?. American Anthropologist, 117, 535-539. Wedekind, C., Seebeck, T., Bettens, F., & Paepke, A. J. (1995). MHC-dependent mate preferences in human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B: Biological Sciences, 260, 245-249. Thornhill, R., & Gangestad, S. W. (1999). The scent of ... ...
- 서민이 보수정당에 투표하는 이유2016.11.30
- J., Blackburn, E. H., & Epel, E. S. (2014). Discrimination, racial bias, and telomere length in african-american men.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46, 103-111.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 ...
- 내 감정 재평가하기 vs 억누르기, 무엇이 효과적?2016.10.18
- (Eds.), Emotion Regulation in Couples and Families: Pathways to Dysfunction and Health (pp. 13–3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utler, E. A., Egloff, B., Wlhelm, F. H., Smith, N. C., Erickson, E. A., & Gross, J. J. (2003). The social consequences of expressive suppression. Emotion, 3, 48-67.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 ...
- 몸에 좋은 성격 이야기2016.08.02
- and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72, 1217–1270. Lahey, B. B. (2009). Public health significance of neuroticism. American Psychologist, 64, 241-256. Bogg, T., & Roberts, B. W. (2004). Conscientiousnes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a meta-analysis of the leading behavioral contributors to mortality. Psychological Bulletin, 130, 887-919.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 ...
- 다른 사람은 나에 대해 얼마나 신경쓰고 있을까?2016.05.03
- nature and the need for social connection. New York: W.W. Norton. Cohen, S. (2004).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59, 676-684. Diener, E., & Seligman, M. E. P. (2002). Very happy people. Psychological Science, 13, 81-84. Gilovich, T., Medvec, V. H., & Savitsky, K. (2000). The spotlight effect in social judgment: An egocentric bias in estimates of the salience of one ... ...
- 한국도 인공광합성 연구로 달린다동아사이언스 l2015.08.20
-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만 선택적으로 만들어내는 데 성공해 온라인판에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발표했다. 이는 2014년 ‘출연연구기관 10대 우수연구성과’ 중 하나로 선정됐다. 연구진은 2012년 햇빛과 이산화탄소로 이미 개미산과 의약품 원료인 ... ...
이전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