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식
지식
견문
공부
면학
연구
학업
스페셜
"
학문
"(으)로 총 7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의학硏, ‘R&D의 재구성’으로 천연물신약 쏟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2.12.31
특히 병을 진단하는 장비가 따로 없고 임상치료지침이 마련돼 있지 않다는 이유 등으로
학문
적 홀대를 받은게 사실이다. ●한의학 현대과학으로 재구성해야… R&D는 필수 “수백, 수천 년 동안 실제로 약을 처방하고 사용해 온 경험이 있습니다. 안전성과 유효성을 어느정도 인정받았다고 볼 수 ... ...
“기존 연구 반복해봐야 소용없어…새로운 것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2.11.26
뛰어난 성과를 낸다고 해도 노벨상은 주어지지 않습니다. 남들이 전혀 도전하지 않았던
학문
에 새롭게 뛰어들어야 하는 겁니다.” 이런 문화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네어 교수는 연구자들의 자율성을 만들어 주는 지원정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네어 교수는 “한국은 정부기관에서 연구 ... ...
“교육 선진화도 못하면서 바이오선진화 꿈도 꾸지마라”
동아사이언스
l
2012.08.28
않는다. 이 때문에 김 교수는 줄기세포가 분자생물학이나 유전공학처럼 생명공학 기본
학문
으로 자리잡게 될 것이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근거가 된 것이다. 그는 “한국에서는 ‘황우석 사태’ 이후 줄기세포 연구가 움츠러들었고,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과 격차도 있다”며 “최근에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어떤 분야의 인력을 육성할지 전략적으로 판단할 필요도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학문
의 쏠림현상이 발생해 균형을 잃기 때문입니다. 이제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생명공학 같은 과학 분야와 행정을 모두 전공하는 과학정책 전문가를 육성하고, 이들이 과학정책을 연구할 수 있는 전문기관이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지원하고 평가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생명과학은 세부 분야가 매우 다양한
학문
이다. 미생물, 줄기세포, 유전자, 단백질 등 모든 생명 현상이 생명과학자들의 연구 주제이기 때문이다. 김 단장은 “국내 생명과학은 눈부시게 발전했지만 아직도 미국 등의 선진국과 많게는 10년 이상 ... ...
“독불장군은 없다… 연계형 연구개발 시대 앞당겨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14
1~2학기 이상 꼭 교육해야 ○ IT-BT 등 전혀 생소한
학문
보다는 유전자-미생물 등 유사
학문
의 연계부터 시도해야 -------------------------------------------------------------------------------- 오태광 단장은 1982~1986년 KAIST 생물공학부 연구원 1986~1991년 KAIST 유전공학센터 선임연구원 1991~1993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농림수산식품 R&D, 발상의 전환 절실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2.08
M&A) 등으로 좋은 기술을 확보하기는 이미 늦었습니다. 게다가 농업 분야에서는
학문
보다 자기중심적인 이념으로 판단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를 버리고 지식 순환과 인적교류를 활성화해야 합니다. 축산과 농업은 분명 시너지를 일으켜 기술 개발을 할 수 있을 텐데 공동연구가 잘 이뤄지지 ... ...
“생명공학 신속함 갖춰야… IT와 합하면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10.01.11
틀을 넘어선 ‘신융합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했다. 출발선상에서 IT와 다른
학문
의 시너지를 염두에 두고 출발하는 형태다. 그는 “아직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진 않았지만 바이오인포메틱스 같은 분야가 가장 유사하다”면서 “ETRI 역시 BT 융복합 연구에 대해 최선을 다 할 예정”이라고 ... ...
“국회에 생명공학자 의견 수렴할 의원모임 만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9.29
특히 더 그렇습니다. 기다림의
학문
이니까요.” 생명공학은 선택과 집중 필요한
학문
… 첨복단지는 유감 이 의원은 많은 연구개발 분야 중 어떤 분야를 지원하면 좋겠느냐는 질문에 “전문가가 아니라서 한 두가지 분야를 꼭 짚어줄 순 없지만, 선택과 집중은 꼭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이 ... ...
“BT산업 육성의 선결조건은 융복합에 강한 인재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09.09.02
결코 의무사항은 아니다. 하지만 UST에서는 지정된 학점을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이때는
학문
간 융합 전문가. 인문사회학 교수 등을 초빙해 다양한 강좌를 연다. 그는 이런 시도가 창의력 향상과 연결된다고 보고 있다. 이런 노력이 발전해 결국 과학기술계 전체가 풍요로워질 거라는 해석에서다. ... ...
이전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