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친밀"(으)로 총 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2018.03.31
- 일’ 등으로 포장하며 폭력이 아닌 것처럼 보는 사회에서 그렇지 않은 사회에 비해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 더 많이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Kaufman Kantor et al., 1994). 성폭력과 마찬가지로 IPV 역시 사회에서 용인하지 않으면 충분히 막을 수 있는 범죄임을 시사하는 결과다. 폭력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미투의 외침 나오는 이유? 성폭력 권하는 사회 2018.03.03
- 공간은 공원, 쇼핑몰 같은 공공장소(34%) 다음이 집(33%)이었다 [3]. 가장 안전해야 할 친밀한 관계에서 가장 많이 일어나는만큼 여성에게 있어 성폭력은 조심한다고해서 피할 수 있는 일도 아닐뿐더러 일상 속에서 벌어지는 일이기도 하다. ‘Me Too’가 곳곳에서 쏟아져 나오는 이유다. 세계 여성 ... ...
- 내향적 성격인 나, 비사회적인 사람일까?2017.09.24
-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것과 달리 비사회적인 사람들은 일단 친밀한 관계의 수가 적고 친밀한 관계가 있다고 해도 이들과 보내는 시간을 즐기지 않는다. 비사회적인 사람들은 사랑의 기쁨이나 말이 잘 통하는 상대로부터 이해받을 때 느끼는 동질감, 누군가에게 호감을 느끼는 경험, 격려와 위로를 ... ...
- 백인우월주의자는 어떤 성향의 사람들인가2017.08.26
- 보였다. 이들은 사회적으로 외로운 사람들일 거라는 생각과도 다르게 교우관계의 숫자와 친밀함을 느끼는 정도에서 일반인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인터넷’에서 정치적 의견이 다른 사람을 위협 또는 협박 하거나 상대를 자극하기 위한 각종 ‘트롤링’을 하는 것, 상대의 ‘신상 ... ...
- 반려동물이 정신질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이유2017.08.20
- 소외로 인한 이중고를 겪는데, 반려 동물이 이들의 악영향을 줄여주고 믿고 기댈 수 있는 친밀한 관계를 제공해 줌으로써 환자들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개인적으로도 반려동물을 통해 스트레스를 줄이고 지친 심신을 정화하는 효과, 혼자라면 절대 ... ...
- 당신에게 1년의 시간만 주어진다면 무엇을 할 것인가?2017.06.24
- 있었다며 ‘의미’를 찾으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전보다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원하며 사람들을 열심히 챙기거나 기부나 봉사 의향이 높아지는 등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Cozzolino et al., 2004). 마치 지독한 구두쇠였던 스크루지 영감이 유령을 만나 자신의 과거, 현재, 미래의 ... ...
- 사랑 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2017.05.13
- 감정을 느낀다고, 그들로부터 거리를 두려고 애쓴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또한 누군가 친밀감을 표현할 때 나의 실제 모습을 보게 되면 실망하게 될 것이라는 두려움과 아무 이유 없이 잘해줄 리 없다며 뭔가 꿍꿍이가 있을 거라는 불신도 함께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동성애에 반대한다? 성적지향에 대한 진실과 오해2017.04.26
- 애정의 형태를 포함한다. 따라서 성적지향은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에 있어 핵심적인 친밀한 관계를 어떤 특성의 사람들을 통해 만족시킬 수 있는가의 관점에서 이야기되어야 한다. ● 성적지향을 만드는 요인은? 많은 연구들이 유전, 호르몬, 발달, 사회문화적 요인들에 대해 살펴 보았고 어떤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아니요. 저는 뽀뽀하기 싫어요!” 2017.04.09
- 원하는만큼의 친밀함을 못 가져도 문제지만 원하는 것 ‘이상’으로 스스로의 기준에서 친밀함이 도가 지나쳐도 관계의 질이 낮고 헤어질 가능성이 높은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가 있었다(Frost & Forrester, 2013).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무조건 끈적끈적하고 서로 거리낄 게 아무 것도 ... ...
- 30대, 50대가 외로움을 더 느끼는 이유는 이것 때문!2017.03.19
- 전혀 느끼지 않는다면 굳이 끼니를 열심히 챙겨 먹지 않게 되듯이, 외로움은 지금 내게 친밀한 인간관계가 부족함을 알려주는 ‘사회적 배고픔’이기 때문이다. 평생 혼자여도 전-혀 외롭거나 쓸쓸하지 않다면 우리는 지금처럼 사랑을 갈망하거나 대화 상대를 찾아 헤매거나 하지 않게 될 것이다. ... ...
이전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