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존재"(으)로 총 2,01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함께 하는 성취가 더 뜻깊다2024.03.30
- 사건들, 힘겨운 시간 끝에 새 삶을 살게 된 경험 같이 어느 정도의 기쁨과 의미감이 함께 존재하는 경험들을 뜻 깊었다고 이야기한다. 참고로 긍정적 정서만 있지는 않지만 의미감이 큰,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가장 소중한 경험이었다고 말하는 대표적인 경험에는 '육아'가 있다. 아이가 나를 향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혼자서도 행복한 '자족감'이 중요한 이유2024.03.23
- 채우려고 하기 때문에(불안정 애착), 다른 쪽은 사랑받고 인정받고 싶은 소속 욕구의 존재를 무시하고 이를 관계가 아닌 다른 수단으로만 채우려고(회피 애착)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긴다고도 볼 수 있겠다. 결국 균형의 문제인 것일까. 필립 세이버 미국 캘리포니아대 데이비스(UC Davis)의 심리학자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2024.03.20
- 꽃을 피우고 잎을 내놓기 시작한다. 흥미롭게도 개화 여부는 낮의 길이, 빛이 존재하는 시간이 중요하지 빛의 세기는 관계가 없다. 빛을 감지하는 수용체가 민감해 흐린 빛도 쳐주기 때문이다. 그런데 식물체의 성장은 좀 다르다. 잎이 자라고 새 가지가 나려면 재료와 에너지가 공급돼야 하므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필요악' 스트레스 활용법도 중요하다2024.03.16
- 해로운 인간관계)도 존재하지만,내 삶을 이루고 있는 스트레스들 중 내게 유익한 것들도 존재한다면 이들을 최대한 활용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Crum, A. J., Jamieson, J. P., & Akinola, M. (2020). Optimizing stress: An integrated intervention for regulating stress responses. Emotion, 20(1), 120–125. https://doi.org/10.1037/emo0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2024.03.03
- 않음을 증명했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생물체, 미생물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코흐는 1876년에 탄저를 일으키는 세균을 발견함으로써 감염병이 세균에 의해 발생함을 처음 알아냈고, 1882년에는 결핵균, 1883년에는 콜레라균을 발견함으로써 “세균학의 아버지”라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2024.02.07
- 결과 생겨난 것일 수 있다. 태양에서 4만 광년 떨어져 있는 구상성단 NGC 1851(사진)에 존재하는 펄서 PSR J0514-4002E의 관측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질량이 태양의 2.35배인 고밀도 동반성이 확인됐다.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무거운 중성자별이거나 가장 가벼운 블랙홀이다. 위키미디어 제공 이번에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2024.02.04
- 구애받지 말고 우선적으로 치료를 해야 한다는 내용도 있다. 모순된 내용과 여러 버전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 선서가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은 역사적으로 의사들의 윤리에 대한 최초로 담았기 때문이다. 수백년 전만 해도 전쟁포로는 잡은 사람이 마음대로 다루어도 되고, 포로나 노비를 서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대우받을 '자격'이 있다고 믿는 사람들2024.02.03
- 낫다고 해서 반드시 더 행복해야 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불행해야 한다는 법이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이렇게 경직된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을수록, 왜 저 사람은 나와 비슷하거나 혹은 못난 것 같은데 나보다 더 행복해 보이냐며 남들과 비교하고 질투하면서 점점 더 고립되고 불행해져 갈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2024.01.24
- 달라졌다는 걸 확인했다. 우연한 변이로 조수라발핀에 내성을 지닌 게 된 CRAB가 이미 존재한다는 것이다. 다만 자연계에는 조수라발핀에 해당하는 천연 분자가 없어 반복된 노출로 인한 내성균이 나온 건 아니다. 따라서 조수라발핀을 잘 통제해서 쓰면 CRAB로 인한 죽음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2024.01.21
- 원래 세균을 죽이는 약을 의미하는 항균제는 유기체에서 분리한 항생제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물질을 합성하여 사용하는 화학요법제로 구분했다. 그러나 지금은 항생제도 곰팡이를 키우지 않고 합성하여 분리하는 경우도 많아졌으므로 항생제라 하면 화학요법제를 포함하여 항균제 대신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