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전적"(으)로 총 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 비터 아몬드를 먹을 경우 어른은 50알, 아이들은 5~10알만 먹어도 사망할 수 있다. 물론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에서는 비터 아몬드를 볼 기회가 없을 것이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학명을 바꿀 수 있다면 아몬드로 대개는 도토리와 같은 견과류로 생각하지만 사실은 복숭아나 자두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2019.06.06
- 레반이 얼마나 치오를 이용했는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염색체 숫자 46의 발견은 전적으로 치오의 공이다. 1956년 코펜하겐에서 열린 국제인간유전학회에서 발표 중인 치오. (오른쪽) 알버트 레반. Victor McKusick(cc)/University of Lund 식민지 출신으로 유럽의 여러 나라를 오가며 살아야 했던 치오의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끝)최종 보고서, 코딩교육 정말 필요한가?2019.05.28
- 더 흥미를 가진다면 'meowbit' 과 같은 게임 프로그래밍 플랫폼을 도전해보고 싶으나, 그건 전적으로 아이가 판단할 몫이다. 지금도 아이는 할 일이 없을 때면 엔트리로 뭔가를 만들곤 한다. 종이접기나 슬라임 만지작거리는 것과 다르지 않다. 코딩 스킬이 딱히 는 것 같지는 않지만 문제 될 것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 동안 머문다. 초창기에는 면역계가 형성돼 있지 않기 때문에 면역성분은 어미의 젖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게놈 분석 결과 코알라에는 MM1이라는 고유한 유전자가 있고 젖에 그 산물인 단백질이 존재했다. 연구자들은 이 단백질이 항미생물 활성을 띨 것으로 추측했다. 코알라가 외래종에서 옮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2018.06.19
- ”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여행 일기에서 그들(아스페르거 증후군 어린이들)은 전적으로 자기중심적이고, 타인에 대한 존중이라고는 도대체 없다. 이는 의식적인 거만함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 부족을 반영한다. -한스 아스페르거 이 장애(아스페르거 증후군)의 핵심에는 환경과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 자부심이 컸다. 한 인시류학자가 책에서 “나보코프의 최근 연구는 이 속(Lycaeides)을 전적으로 새롭게 분류해냈다”고 쓴 걸 보자 “이거야말로 진정한 명성입니다. 어떤 문학평론가에게도 들을 수 없는 최고의 찬사입니다”라며 기뻐했다. 나보코프가 분류를 위해 그린 나비 날개 그림으로 그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2017.07.25
- 표시해야 한다. - 신경생리학저널 제공 이에 따르면 우리가 고온에서 다습을 느끼는 건 전적으로 촉각의 작용으로 여기에는 땀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변 온도가 올라가면 우리 몸은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땀을 분비한다. 그럼에도 지난달처럼 덥지만 건조할 때는 웬만해서는 피부에서 땀이 보이지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⑦ 할머니, 할아버지의 날은 왜 없을까2017.05.07
- 순서로 양육에 참여했을 것입니다. 친족 집단, 즉 마을 전체가 같이 키우는 것입니다. 전적인 할머니의 단독 양육은, 전통 사회에서 거의 일어나기 어려운 일입니다. 베트남 흐몽족(Black H'mong)의 할머니, 딸, 손주. 할머니의 양육 보조는 인류의 오랜 전통이다. 할머니의 공동 양육은, 진화적인 ...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시작됐다"며 "과거에는 질환 발병 요인 중 유전적 요인을 50~60%로 추정했지만, 요즘은 비유전적(환경적) 요인이 60% 이상을 차지하며, 그중에서도 미생물이 중요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생물(균)의 양, 수, 다양성을 포함해 균의 전체적인 분포도를 균총(microbiota)이라고 합니다. 질환과 장내 균총의 ... ...
- 표범의 추억2016.11.08
- 알 수 있다. 한편 고양잇과에 속하는 종들은 인간과나 소과에 속한 종들에 비해 유전적 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표범과 눈표범, 치타가 그런데 작은 무리가 고립돼 살아가며 동계교배가 자주 일어난 결과로 보인다. 앞으로 이들 종의 멸종을 막는데 서식지 보호와 함께 무리의 다양성 ... ...
이전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