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전자"(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2015.01.20
- 현재까지 개발된 각종 의학, 공학기술이 두루 적용된다.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양전자방출 단층 촬영장치(PET) 등도 대상이다. 최근에는 두개골을 뚫고 뇌까지 도달이 가능한 근적외선을 쏘아 보내고, 되돌아 나온 빛의 파장을 분석하는 ‘기능성 근적외선 분광법’이 자주 쓰인다. 또 뇌에서 생기는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2015.01.20
- 분리해 주는 유모세포의 기능을 모방했다. 압전소자(소리의 압력을 전기신호로 바꾸는 전자소자)를 이용해 전기신호로 청각신경을 자극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를 통해 기존 인공와우와 달리 음의 높낮이에 따라 다양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 셈이다. 이 연구성과는 재료 분야의 세계적인 저널인 ... ...
- 웨어러블 컴퓨터의 핵심기술, 늘어나는 소자 늘어나야 입는다IBS l2015.01.16
- TFT에 주름진 모양의 알루미나층 산화막을 형성하여 신축성을 지니도록 했다. 이는 전자소자의 기본 단위인 트랜지스터의 모든 부분을 세계 최초로 신축성 있는 재료만으로 만든 사례라 주목받고 있다. 휘어지는 수준을 넘어서서 늘어나는 성질까지도 확보한다면 접을 수 있는 컴퓨터는 물론이고 ...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KOITA l2015.01.05
- X선은 방사선의 한 종류로서 전파나 마이크로웨이브와 똑같은 전자파이다. 단지 이들 전자파에 비해 X선은 아주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으며 상당히 큰 에너지를 갖고 있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더욱 중요한 점은 X선은 뢴트겐이 처음으로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지구가 생긴 이래 계속 지구상에 ... ...
- 아프리카 말라위 토양 분석해 인류 지능의 기원 캔다2014.12.19
- 바뀌어 흡수돼 들어가 있고,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 쌓인다. 석영 입자 속 구멍에 쌓인 전자를 빛의 형태로 꺼내 그 양을 측정하면 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셈이다. 그런데 이런 분석 기술을 보유한 곳은 기초과학지원연구원이 독보적이다. 톰프슨 교수팀이 공동 연구 요청을 한 것도 이 때문이다. 최 ... ...
- 말 많은 양자컴퓨터, 오해와 사실IBS l2014.12.10
- 주목할만한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가 지난해 IBS의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이 추진 중인 밸리트로닉스 관련 연구다. 이 연구단은 최근 기존의 실리콘 기반의 반도체를 이용하면서도 스핀을 쉽게 조절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스핀이 아닌 다른 특성, 파동양자수를 이용하여 ... ...
- [Green Focus_기획특집]비(非)이산화탄소를 잡아라동아사이언스 l2014.11.17
- 불화가스 같은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배출은 화학공업, 자동차산업, 선박산업, 전자산업, 반도체산업, 컴퓨터산업 등 우리나라 수출 주력산업과 연관된다. 문 단장은 “이런 온실가스를 사용하거나 배출해 만든 제품에 대해 국제적 규제나 불이익이 가해진다면, 수출에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 ...
- 제2의 석기시대를 지탱하는 신기술IBS l2014.11.13
- 않았던 까닭은 전자기 이론이 확고하게 체계가 잡혀 예측과 제어가 용이한 데 비해 전자의 스핀을 정확하게 제어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노 수준의 다층박막, 초전도체와 강자성체 등 스핀 제어에 필요한 기술들이 고도화되면서 스핀트로닉스도 실용화가 가능한 단계까지 발전했다. ... ...
- 세계에서 활약하는 한국의 과학기술자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1.05
- 계속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미국 물리학자 더글러스 호프스타터(Douglas Hofstadter)가 제안한 전자와 자기장 간의 함수를 세계 최초로 물질 차원에서 구현했다. 이 함수를 그래픽으로 전환하면 나비 모양이 되기 때문에 '호프스타터의 나비'라 불리는데 김 교수가 나노미터 크기의 그래핀으로 제작해 ... ...
- 글로벌 연구거점 구축과 차세대 연구리더 육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겠다IBS l2014.10.10
- 48년 서울 출생인 김두철 원장은 통계물리학에 정통한 이론물리학자다. 1970년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1974년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교 전기공학과에서 통계물리학 연구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1977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이 기간에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