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분
일환
부위
갑부
부호
부자
스페셜
"
일부
"(으)로 총 2,79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300km 길이로 남은 튀르키예 지진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23.09.03
당시 파열 길이는 300km 이상에 이를 정도의 거대 규모로 일어났다. 사진은 그 중 극히
일부
의 모습만 담았다. 막대한 인명 손실과 경제적 피해를 일으킨 이 지진은 과거에도 여러 차례 지진이 발생한 동아나톨리아 단층을 비롯한 여러 단층에 걸쳐 발생했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염수·초전도체·이권카르텔…과학이 있어야할 곳은
2023.08.30
뛰어들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우리 과학자를 ‘가두리’에 갇힌 넙치에 비유해버린
일부
언론의 파행적 보도는 언론의 낯 뜨거운 실수였다. 정부가 섣불리 끼어들지 않았고 초전도저온학회가 끝까지 냉정함을 잃지 않았던 것이 다행이었다. 우리 사회가 SNS를 통해서 전 세계의 주목을 집중시키는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켤 수 있는 스트레스나 공포와 같은 특정 환경 자극과 관련된 형질 획득 또는
일부
학습 정보들이 유전될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라마르크가 주장했던 ‘획득 형질의 유전’은 아주 특정한 경우에만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후성유전학이라는 새로운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상태였다.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칼텍)의 화학자들은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단백질E의
일부
가 MraY에 달라붙어 반응물질이 들어가야 할 자리를 차지하는 동시에 단백질E의 나머지 부분이 또 다른 대장균 단백질인 SlyD에 달라붙는 복합체를 만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원래 SlyD는 대장균의 다른 ... ...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
2023.07.28
전에는 마치 자동차가 원하는 길을 마음대로 이동할 수 있지만 그 시기 이후에는
일부
길은 통행이 불가능한 커다란 벽에 막혀 갈 수 없게 되어 통행이 가능한 길로만 다닐 수 있게되는 것과 같다. 굴 돌렌 교수 연구팀은 사이키델릭 약물이 PTSD나 중독과 같은 단단한 기억들을 변화시키고 사라지게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해서 후쿠시마의 오염물질이 제주도로 ‘온다’고 해서는 안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일부
에서 ‘진보’의 과학이라고 인식하는 주장은 진정한 ‘과학’이 아니다. 오히려 초등학교 수준의 상식과 과학을 철저하게 무시하는 ‘가짜 과학’일 뿐이다. 언론이 그런 엉터리 가짜 과학을 아무 단서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
2023.07.12
다르게 대사된다. 아세설팜K, 사카린, 수크랄로스는 소화관을 지나는 동안 분해되지 않고
일부
가 흡수돼 혈관을 타고 전신으로 퍼지고 신장을 거쳐 소변으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대변으로 배출된다(왼쪽). 반면 아스파탐은 소장을 지나며 분해되고 스테비올 글리코사이드는 대장에서 장내미생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환경 파괴가 불러온 신종 질병
2023.07.11
해가 되는 새로운 병을 전해 주게 된다. 따라서 자연의 섭리가 무엇이며, 자연의
일부
일 뿐인 사람이 어떻게 자연속에서 살아가는 것이 가장 이로운 것인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1. 데이비드 쾀멘. 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 강병철 역. 꿈꿀자유. 2022 2. 세계보건기구 홈페이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로음료 감미료 '아스파탐' 발암성 '진짜 의미'
2023.07.04
지속적‧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경우에만 걱정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 뜻에서 언론과
일부
전문가들의 요란스러운 경고는 절대 바람직한 것도 아니고 합리적인 것도 아니다. 우리가 IARC의 인체발암물질 지정으로 불필요한 혼란을 겪기도 했다. 2015년에는 햄‧소시지 등의 가공육이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10.1038/43432)이다. 그들은 시냅스 가소성을 조절하는 주요 분자 중 하나인 NMDA 수용체의
일부
를 생쥐의 전뇌(forebrain) 영역에 유전자 조작을 통해 과발현 시키면 생쥐들이 대부분의 기억 행동 측정 시험에서 놀랍게도 높은 점수를 받는 것을 발견하였다. 미국 TV 쇼의 천재 소년 배역 이름을 딴 “두기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