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송
운송
전달
운하
탁송
전도
나르기
스페셜
"
운반
"(으)로 총 179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중환자 저산소증, 미성숙 적혈구 때문"
연합뉴스
l
2021.06.04
미성숙 적혈구를 대거 방출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문제는 미성숙 적혈구는 산소를
운반
하지 못한다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또 다른 문제는 미성숙 적혈구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에 매우 취약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공격을 받아 파괴되면 우리 몸은 이를 성숙한 적혈구로 대체할 수 ... ...
[우주산업 리포트]미국 주도 달 탐사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업들
2021.05.28
개발하고 있다. 스페이스X는 완성된 모듈을 팔콘 헤비 로켓을 사용해 달 궤도까지
운반
하는 역할을 맡았다. 우주인 거주와 화물 적재 모듈의 설계와 개발은 노스롭 그루만 스페이스 시스템즈가 맡았고, 발전과 궤도 유지장치는 막서 테크놀로지가 담당하고 있다. 그밖에 에어버스와 유럽의 우주기업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이 제2의 폐가 될 수 있을까
2021.05.25
대신 산소 분자나 이산화탄소 분자는 잘 달라붙는다. 따라서 과불화탄소는 뛰어난 산소
운반
체로서 혈액의 헤모글로빈을 대신할 수 있다. 놀랍게도 1989년 일본 녹십자(한국의 녹십자와는 다른 회사)는 과불화탄소로 만든 인공혈액 플루솔-DA를 개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아 일본과 ... ...
"ESG 경영은 CSR이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8
원재료가 되는 우유를 스위스에서 가져올 수 없었다. 인도의 우유는 품질이 떨어져
운반
수반도 열악해 사용하기 힘들었다. 이 때 빛을 발한 것이 네슬레의 ESG 경영이다. 인도에 관련 기술자들을 파견해 소를 사육하는 방법을 교육했고, 냉장 시설이 구비된 집합 장소를 설치했다. 이에 따라 해당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활동에 대한 강의 ‘반격’
동아사이언스
l
2021.05.16
매년
운반
하는 강이다. 평지로 흐르며 속도가 느려지고 강바닥에 퇴적물들이 쌓인다.
운반
능력이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면 강은 결국 새로운 경로를 찾는다. 수세기 동안 코시강은 수십년마다 제방을 파괴해 왔다. 최근 10년간 연구에 따르면 코시강의 움직임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는 ...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혈전증 유발은 첨가제와 인간 단백질 반응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4.27
연구진의 연구가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 다만 바이러스 벡터 백신에서
운반
체로 사용되는 아데노 바이러스가 염증성 자극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의 연구결과처럼 EDTA가 바이러스 벡터 백신의 혈전증 유발에 관련있는지 여부는 좀더 검토돼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진도 이같은 ... ...
혈전 문제 일으킨 얀센·아스트라제네카, 바이러스 벡터 백신 문제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4.15
얀센은 아데노바이러스26형(Ad26),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아데노바이러스5형(Ad5)을
운반
체로 쓴다는 점은 다르다.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백신의 효능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이어 얀센 백신도 혈전 부작용이 확인되면서 전문가들은 바이러스 벡터 방식이 혈전 부작용과 ... ...
2세대 코로나 백신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2
태국에서 임상시험에 들어간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NDV-HXP-S. 태국 국영제약회사 GPO 제공 세계 각국에서 감염병예방사업을 수행하는 비영리 단체인 ‘패스(PATH)’가 이달 5일(현지 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만들 차세대 후보물질인 ‘NDV-HXP-S’가 브라질과 태국, 멕시코 ... ...
계란에서 배양하는 코로나백신 임상 돌입...팬데믹 ‘게임체인저’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4.07
현재 접종이 이뤄지고 있는 백신은 독성을 없앤 바이러스를 주입하거나 다른 바이러스를
운반
체로 사용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 항원을 주입하는 바이러스 벡터 방식이다. 화이자와 모더나의 mRNA 백신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할 때 사용하는 표면 스파이크 단백질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2의 미토콘드리아 찾았나
2021.03.23
해저에서 질산염 호흡을 하는 유공충을 보고한 2018년 논문에서 제안한 메커니즘이다.
운반
단백질(Nrt)을 통해 들어온 질산염이온(NO3-)은 액포(V)를 거쳐 미토콘드리아(MT)로 들어가 일련의 효소 작용으로 고에너지 전자를 받으며 환원된다. 최종산물인 질소(N2) 기체는 세포 밖으로 배출된다. 이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