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심
진심
정성
지성
스페셜
"
심혈
"(으)로 총 8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리포츠’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개를 키우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심혈
관계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1인 가구에서는 36%나 낮았고 2인 이상 가구의 경우도 15%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반려견이 주는 정서적인 효과(둘 다 사회적 동물이다)와 함께 개를 산책시키며 사람도 운동을 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받고 있다. 카로티노이드 부족은 사망률을 높이고 황반변성 등 시각장애, 인지력 저하,
심혈
관계질환, 암 등 각종 질환의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카로티노이드인 아스타잔틴의 분자 구조. 다른 카로티노이드는 짝이중결합(conjugated double bond)이 11개인 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나와 있는 토마토의 리코펜 함량의 5배에 이르는 농도다. 리코펜은 항염증 작용이 있고
심혈
관계질환 및 암 위험성을 낮춰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로 리코펜 관련 유전자인 CycB는 리코펜을 베타카로틴으로 바꿔주는 효소를 지정하고 있다. 기존 토마토 작물화 과정에서는 이 유전자의 활성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못하게 만든다. KCNQ 칼륨 통로 단백질은 다양한 조직에 분포하기 때문에 지네에 물리면
심혈
관계와 호흡계, 근육계, 신경계가 한꺼번에 교란되면서 상당한 덩치의 동물도 목숨을 잃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KCNQ 칼륨 통로를 열어주는 약물이 있으니 바로 뇌전증(간질) 치료약인 레티가빈(retigabine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꽤 있다는 점이다. 즉 원래 고혈압(대시식단)이나
심혈
관계질환(지중해식단)을 예방 또는 완화하는 게 목적인데 허리둘레가 줄어드는 즐거움도 덤으로 따라온다는 말이다. 내장지방이 줄면 대사질환의 위험성도 낮아지므로 이런 식단이 내장지방을 줄여 대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지난 60여 년 동안의 관련 문헌을 조사한 결과 제당업계가 만든 당연구재단(SRF)이 돈을 댄
심혈
관계질환 원인 규명 연구 프로젝트가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위험성은 부각하고 당의 위험성은 은폐한 결과를 1967년 논문으로 발표했다고 폭로했다. 그 뒤로도 이런 떠넘기기 전략이 계속됐고 그 결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겪게 할 수도 있다. 이런 현상을 노세보(nocebo), 즉 역위약 효과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심혈
관계질환 치료제인 아테놀올(atenolol)을 처방받은 환자들을 추적조사한 결과가 있다. 즉 이 약물의 실체를 모르고 복용한 환자 그룹과 부작용으로 발기부전이 유발될 수 있다는 정보를 들은 그룹으로 나눈 결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
2017.07.18
뒷모습만 봐도 대사질환이나 신경퇴행성질환과는 거리가 멀 것 같다. 실제 이들이
심혈
관계질환에 걸리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 Brian Wood 제공 수렵채취인들이 우리처럼 따로 운동을 하는 것도 아니고 그저 먹고 살기 위해 하루에 몇 시간씩 돌아다니며 사냥을 하고 채집을 하는 신체 활동을 하는 ... ...
심장이 잘려 나가도 생존하는 제브라피쉬의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17.06.11
포유류의 한계이던 심장 재생 능력을 먼 미래엔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
심혈
관계 질환의 높은 사망률에 대처해 인류의 건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디 탕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팀은 아주 기본적인 세포가 스스로 복구하는 기작에 대해 분석하는 연구 분야들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2017.05.02
사이 미국의 1296개 카운티에서 총 1억 그루의 양물푸레나무가 사라졌는데 이 기간 동안
심혈
관질환과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했다. 참고로 아시아에서 유입된 서울호리비단벌레, 즉 외래곤충이 이 지역의 저항력이 없는 양물푸레나무를 초토화시켰다. 도심 나무가 건강에 미치는 효과는 55세 ... ...
이전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