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치
시장논리
논리
시장독점
시장
마켓
마킷
스페셜
"
시장가치
"(으)로 총 225건 검색되었습니다.
UAE도 화성 탐사하는 우주탐사 시대...한국 우주기술 경쟁력은
2021.04.27
UAE 엔지니어들이 화성 탐사선 알 아말을 점검하고 있다. 에미리트화성미션 제공 지난 2월 9일 아랍 강소국 아랍에미리트(UAE)의 화성 탐사선 ‘아말’이 화성 궤도에 안착했다. 우주개발에서 한국보다 후발주자인 UAE는 건국 50년이 되는 2021년 2월 탐사선 아말을 화성 궤도에 진입시키는 계획을 현실 ... ...
[우주산업 리포트] 아크인베스트먼트 우주탐사 및 혁신 ETF를 아십니까
2021.04.09
'팰컨 헤비'(Falcon Heavy) 로켓과 로켓 안에 함께 실린 빨간 스포츠카 '테슬라 로드스터'. 스페이스X 제공 한때 SF영화의 배경으로만 생각되던 우주가 ‘뉴 스페이스’ 시대의 도래와 함께 투자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달 29일 미국의 아크인베스트먼트가 출시한 ‘우주탐사 및 혁신 상장지수펀 ... ...
한컴, 세종대와 우주항공연구소 설립해 드론·우주 공동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6일 서울 광진구 세종대에서 열린 산학협력 협약식에서 김상철 한컴그룹 회장(오른쪽)과 배덕효 세종대학교 총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글과컴퓨터그룹 제공 한글과컴퓨터그룹이 세종대와 공동으로 드론 및 항공우주 분야 기술 인력 확보를 위해 협력하고 우주항공연구소를 설립하기로 했다. ... ...
[인간 행동의 진화] 인간은 어떤 곳에 살고 싶어하는가
2021.03.20
새 아파트는 인공적이면서 자연적이다. 안전하면서 높고 조망도 좋다. 그러나 아무리 좋게 보아도 회복을 위한 공간은 아니다. 연합뉴스 제공 우리는 어디에 살고 싶을까. 서울 강남의 아파트일까, 미국 뉴욕 맨해튼 어퍼이스트 사이드일까, 아니면 일본 도쿄의 긴자일까. 물론 그럴 수 있으면 좋 ... ...
"복지는 인간만이 가진 품위" 토론에서 누가 이야기했을까…답은 '신문 읽은 AI'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토론 AI '프로젝트 디베이터'와 인간 토론자가 지난 2019년 유치원 보조금 지원을 놓고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IBM 제공 “복지는 절벽에서 떨어지는 사람에게 손을 내미는 것과 같습니다. 이는 인간만이 가진 품위입니다.” 유치원 보조금 지원 문제를 두고 진행된 토론에서 한 참가자가 밝힌 지원 찬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과학자 사회의 불평등에 대하여
2021.03.12
“왜 비슷한 능력과 배경을 가진 과학자들이, 경력의 후반기로 갈 수록 연구결과에서 큰 차이를 보이게 될까. 이에 대한 고전적인 답변은 ‘마태 효과’라는 것이다. 좀 더 빨리 성공할수록, 미래에 더 큰 성공을 거둘 가능성이 커진다. 우리는 마태 효과가 실제 과학계의 연구비 선정과정에서 작 ... ...
소형발사체 기린아 '로켓랩' 2분기 상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2
미국 우주개발기업 '로켓랩'의 발사체 '일렉트론'이 발사되는 모습이다. 로켓랩은 올해 2분기 기업인수목적회사(SPAC)를 통해 상장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로켓랩 제공 미국 우주개발기업 ‘로켓랩’이 올해 2분기 기업인수목적회사(SPAC)를 이용해 우회 상장한다. 소형발사체 시장의 선두주자로 꼽 ... ...
한국 토종 우주발사체 누리호는 300개 기업이 함께 만들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5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개발에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외에도 300곳이 넘는 기업의 연구자들이 함께 참여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개발에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외에도 300곳이 넘는 기업의 연구자들이 함께 참여하고 있다. ... ...
50살 맞은 KAIST...혁신과 산업 발전의 ‘담대한 발걸음’
2021.02.15
1970년대 한국과학원(KAIS) 시절 홍릉캠퍼스의 모습이다. KAIST 제공 50년 전인 1971년 2월 16일 서울 홍릉 연구개발단지에서 국내 최초 이공계 연구중심 대학원인 ‘한국과학원(KAIS)’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KAIST가 16일 개교 50주년을 맞는다. KAIST는 지난 50년간 1만4418명의 박사를 포함해 총 6만9388명의 과학 ... ...
8년만에 확바뀐 전기요금 체계, 우리집 전기요금 오를까
수학동아
l
2021.02.06
2021년 바뀐 전자요금고지서 샘플. 한국전력공사 제공 올 1월부터 전기요금 체계가 연료비 가격을 더 자주 반영하는 방향으로 달라졌습니다. 특히 액화천연가스(LNG)의 가격이 치솟아 전기요금이 인상될 것이란 이야기가 많습니다. ‘이대로 전기를 사용해도 될까?’ 전기요금 체계 개편안을 살펴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