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앞발
주먹
도움
손바닥
약혼
sone
so’n
스페셜
"
손
"(으)로 총 1,14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이재석 GIST 교수팀 항생제 내성 극복 항생물질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21
자세와
손
자세, 행동 인식 등 관련 응용 프로그램 모델의 성능을 겨룬다. 백 교수팀은
손
자세와 행동 예측 2개 부문에서 우승했다. ■KAIST는 20일 ‘2022 대한민국 혁신창업상’ 6개 수상기업을 발표했다. 대한민국 혁신창업상은 혁신창업 성공사례를 발굴해 딥테크 창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자 ... ...
[표지로 읽는 과학] 무한한 잠재력 지닌 세포공학
동아사이언스
l
2022.11.27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25일 여러 개의
손
과 세포를 묘사한 이미지를 표지로 실었다. 표지 하단에는 ‘세포 공학(Cell Engineering)’이란 문구가 크게 달려있다. 이번 주 사이언스는 세포공학을 “강력하고 큰 잠재력을 가진 기술”이라 소개하며 특별호를 발간했다. 세포공학은 생물의 세포나 ... ...
[일상 속 뇌과학] 뇌가 실수와 오류를 제거하는 법
2022.11.25
시간 안에 많은 음식을 만들어야 했던 달인은 일일이 재료를 계량하기가 힘들어서 한
손
으로 정확한 양의 재료를 집으려 여러 번 노력했을 것이다. 처음에는 그 양이 들쭉날쭉했을 것이고 계량한 양과 맞춰가며 다시 수정하는 시도를 수도 없이 반복했을 것이다. 그래서 어느 순간에는 점차 본인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75년 전 개발 ‘트랜지스터’가 가져온 혁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1.20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는 한눈에 봐도 오래된 것 같은 휴대용 라디오를
손
에 들고 있는 모습을 클로즈업으로 포착한 이미지를 표지에 실었다. 이는 1959년 9월 9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회 라디오 및 텔레비전 쇼에서 처음 선보인 휴대용 라디오다. 사이언스는 75년 전 발명된 트랜지스터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생각없이 해야 실행력 오른다
2022.11.19
높아지고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은 어디론가 사라진다. 결국 불안만 높아지고 일은
손
놓게 되는 악순환이 발생한다. 마감이 코앞이지만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울기만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마지막 순간까지 해 둔 것이 아무 것도 없기 때문에 불안은 정점을 찍고 만다. 고삐 풀린 불안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대구 수돗물 독성' 논란...'4대강 보'가 근본 원인일까
2022.11.09
물 18밀리리터에는 무려 6천만경(京) 개의 물 분자가 들어있다. 우리 눈으로 볼 수도 없고,
손
으로 만질 수도 없는 분자의 수를 정확하게 세는 일은 절대 쉬운 일이 아니다. 물속에 ppm(백만 분의 1) 수준으로 녹아있는 분자의 수도 무려 60경(京) 개나 된다. 정량 한계값은 분석기기로 그런 분자의 수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를 지탱해주는 '누군가'의 존재
2022.10.29
있을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같은 위기를 겪어도 주변에 도움의
손
길이 존재하는지에 따라 위기에서 나름의 의미와 감사함, 희망을 찾을 수 있는지 여부가 달라진다. 환자들의 경우 같은 병을 앓아도 양질의 인간관계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이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훨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생물 먹이가 된 플라스틱 쓰레기
2022.10.18
푸디다(Pseudomonas putida)로 유기산 혼합물을 먹고 특정한 분자를 만들어내도록 게놈에
손
을 대 대사경로를 조절한 상태다. 실험에 쓰인 두 균주 가운데 하나인 AW304 유기산 혼합물을 먹고 베타-케토아디페이트라는 분자를 만든다. 베타-케토아디페이트은 헥사메틸디아민과 반응시켜 나일론과 물성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껌 씹기도 운동...덜 씹으면 살 찐다
2022.09.06
깨물근은 우리 몸에 있는 근육 가운데 가장 힘이 세다(단위 단면적 기준). 귀밑 턱에
손
을 대고 이를 꽉 물면 불끈 솟아나는 근육이 바로 깨물근이다. 저자들은 깨물근 바로 위 피부에 전극을 붙여 껌을 씹을 때 근육 활성을 측정하는 근전도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부드러운 껌을 씹을 때에 비해 ... ...
약 700만년 전 인류 두 발로 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9
이족보행을 하고 나무를 오르락내리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대퇴골과 척골은
손
으로 나무를 붙잡고 다리로 나무를 기어오를 수 있는 형태로 발달했다”며 “땅에서 사족보행을 하는 고릴라나 침팬지가 가진 해부학 구조와는 확연히 다르며 기존의 두개골 분석을 통한 이족보행을 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