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스페셜
"
생물학
"(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의 계절이 돌아왔다…mRNA 백신 개발·여성과학자 주목받을까
2022.09.30
유전자 가위로 202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에마누엘 샤르팡디에 독일 막스플랑크 감염
생물학
연구소 교수와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가 첫 사례다. 특히 지난해에는 총 7명의 노벨과학상 수상자 중 여성 과학자는 단 한 명도 없었는데 올해에는 몇 명의 여성 ... ...
IBS, 美 국립보건원·세인트주드 아동 연구병원과 감염병 연구 협력
동아사이언스
l
2022.08.29
것을 제안했다. 파우치 소장은 "바이러스 및 백신 연구를 위해 바이러스학, 면역학, 구조
생물학
등 여러 분야 연구자들이 모여 영향을 주고받은 것이 매우 성공적이었다"며 "정치 상황이 바뀌어도 정부가 바이오 의학 연구 분야에 꾸준하게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NIAID ... ...
약 700만년 전 인류 두 발로 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9
이족보행을 한 최초의 인류로 여겨져 왔다. 프란크 가이 프랑스 푸아티에대 고
생물학
과 교수 연구팀은 약 700만년 전 고대 인류 화석의 대퇴부(허벅지)와 척골(팔뚝)을 분석했다. 네이처 제공 하지만 이 분석을 놓고 학계에서는 설왕설래가 이어져왔다. 2001년 이후 두개골과 아래턱 뼈, 이빨 외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로 위기에 처한 '숲'
동아사이언스
l
2022.08.20
지난 35년간 호주 열대지방 24곳의 나무 고사율은 두 배 증가했다. 미국 미시간대 지구변화
생물학
연구소 연구팀은 온도와 강수량 변화가 숲에 있는 나무의 성장률과 생존률을 변화시켰다고 말했다. 모두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가 만든 결과다. 아직은 데이터도 부족한 상황이다. 개별적인 연구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포 사이 계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8.13
이런 시스템을 모사하려고 노력해왔다. 잉마르 리델크루세 미국 애리조나대 분자세포
생물학
과 교수 연구팀은 박테리아가 생성하는 부착소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을 만들어냈다고 이날 네이처에 공개했다. 연구팀이 만든 시스템은 ‘4색 정리’를 기반으로 한다. 4색 정리는 서로 인접한 두 ... ...
[표지로 읽는 과학] 중요하지만 모두가 간과했던 존재, 풀
동아사이언스
l
2022.08.07
함께 생물군이 어떻게 진화했는지 짚어본다. 수많은 종으로 다양성을 갖춘 풀을 분자
생물학
적으로 분석하고 우리가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초원과 바다에 있는 탄소를 지켜야 하는 이유도 설명한다. 그리고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는 우리가 풀의 다양성과 가치를 인지해야만 ... ...
[표지로 읽는 과학]바다에서 발견된 수분매개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것)하는 동물매개 수분과 비슷한 원리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조류 진화
생물학
및 생태학 국제연구소 연구팀은 이날 사이언스에 등각류가 홍조류 일종인 그라실라리아 그라실리스의 수정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등각류가 홍조류 사이에서 먹이를 ... ...
구글 딥마인드 AI, 거의 모든 단백질 구조를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30
개발을 위해 알파폴드의 데이터베이스를 요청했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컴퓨터
생물학
과 연구팀도 알파폴드를 이용해 플라스틱을 먹어치우는 새로운 효소를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신약 개발을 중심으로 알파폴드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AI 신약 개발 기업 ... ...
코로나19 인간 활동이 잠시 멈춘 사이 야생동물 세계도 웃고 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5
○ 야생에 대한 인간 영향 평가하는 기회 생겨 아만다 베이츠 캐나다 빅토리아대 해양
생물학
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국제학술지 생물 보존지에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확산하면서 각국의 봉쇄조치로 야생동물의 생활반경이 자연스럽게 넓어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 ...
[표지로 읽는 과학]대멸종 후 바다는 생물다양성을 어떻게 회복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23
생물학
적 상호작용이 강화되면서 다양성 성장을 제한한다는 것이다. 최근 50년간 고
생물학
자들은 지구가 어떻게 현재 상황에 도달했는지 설명하지 못하는 화석 기록의 질을 두고 논쟁을 벌여왔다. 벤튼 교수는 “과거의 생물 다양성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과 대량 멸종 후 생명체가 어떻게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