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스페셜
"
사이
"(으)로 총 197건 검색되었습니다.
즐기다 보니 우수연구원 됐다
IBS
l
2015.02.24
계속하고는 결국 모두 녹초가 된다. - IBS 제공 이효철 그룹 리더와는 8년 넘게 함께해온
사이
. 덕분에 IBS 경력은 2년 정도지만 연구실 내에서는 선임급이다. 거기다 캠퍼스 연구단이다 보니 IBS 산하 연구단이 되었다고 해서 환경이 크게 바뀐 것도 없다. 연구실 분위기는 언제나 즐겁고 상하관계는 ... ...
명품화장품은 좋은 원료에서 나온다
KOITA
l
2015.02.23
시장도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호재 가운데 중국의 약진과 일본의 부활
사이
에서 한국 화장품 업계가 어떤 전략을 취할지는 중요한 과제다. 태극 문양을 단 비행기는 맞바람을 이겨내며 날아갔다. 지난 11월 3일 오전 태국 방콕으로 향하는 비행기였다. 잠시후 좌석 앞 모니터에서는 ... ...
눈(雪) 위의 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정복하기
KISTI
l
2015.02.16
‘리버스 캠버(reverse camber)’ 현상이 발생해 마찰력이 커진다. 또한 눈과 플레이트
사이
에 곡선이 형성돼 자연스럽게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다. 스노보드 기술 중 재빠르게 회전하며 고속으로 하강하는 ‘카빙 턴(carving turn)’은 옆 날 에지만 이용하기 때문에 보드 밑바닥 면 전체를 사용하는 ‘슬립 ...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KOITA
l
2015.02.16
예를 들어, 앞선 [사례2]와 같이 환자를 돌볼 의무와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할 의무
사이
에서 딜레마에 빠졌을 때 로봇은 두 의무에 할당된 값을 체크한다. 그리고 환자를 돌볼 의무에 할당된 값이 정해진 값을 넘어가게 되면(즉 환자가 위험한 상태가 되면) 그 때는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할 의무를 ... ...
[MATH] 시간 기록은 어떻게 할까?
KISTI
l
2015.02.09
한 달로 하는 것이 음력인데, 정확하게는 29.53일이다. 따라서 음력의 날짜와 달의 위상
사이
에는 시간 차이가 나게 되고 심한 경우 이틀 정도 차이가 난다. 이런 차이를 메우기 위한 것이 윤달이다. 윤달이 있는 해를 윤년이라고 하는데 특히 2006년과 같은 윤년을 쌍춘년이라고 한다. 오늘날 우리가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지구까지의 거리)에, 원일점(태양에서 가장 먼 점)은 5.7AU에 있어 쉽게 말해 지구와 목성
사이
를 왔다갔다 하는 혜성이다. 혜성이라 하면 태양계의 먼 외곽을 돌아다니는 천체로 생각하기 쉽지만 의외로 이렇게 가까이 존재하는 혜성들도 있다. 이들의 고향은 물론 태양계의 외곽인 오르트 구름이나 ... ...
웨어러블 컴퓨터의 핵심기술, 늘어나는 소자 늘어나야 입는다
IBS
l
2015.01.16
두 손을 자유롭게 놀리면서도 수시로 시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과 패션
사이
▲ 손목시계는 최초의 웨어러블 컴퓨터라고 할만하다. 당시 최첨단 기술의 집약체를 휴대용으로 만들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제2차 세계대전 때까지 손목시계는 매우 고가였으며 가장 가치있는 노획품이기도 ... ...
환경과 지역 함께 살리는 아이디어
동아사이언스
l
2015.01.14
에너지 자립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했다. 조 씨가 제시한 해결책은 건물
사이
에 부는 측풍과 고층빌딩의 넓은 측면에 입사되는 태양광을 활용하는 것. 도시의 환경을 오히려 장점으로 삼는 발상의 전환이 돋보였다. 함께 우수상을 받은 경희대학교의 강지훈, 설미연 씨 팀은 폐기물 처리장을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는 X선이 통과하는 길에 사진 건판을 놓고 아내의 손을 그
사이
에 놓도록 했다. 건판을 현상한 그는 예상대로 손가락뼈가 선명히 드러난 사진을 얻을 수 있었다. 뼈 둘레로 희미하게 근육의 형태가 나타났다. 역사상 최초로 산 사람의 뼈가 사진으로 찍힌 순간이었다! 그의 ... ...
[MATH] 피라미드에 얽힌 이집트의 수학이야기! 작도와 왕도
KISTI
l
2014.12.29
위해 10만 명이 3개월씩 교대로 20년 동안 일해 완성했다고 한다. 외부를 장식하는 돌과 돌
사이
의 빈틈은 기껏해야 0.5mm 정도일 만큼 고도의 기술로 만들어졌으며, 피라미드라는 이름은 그리스어의 피라미스(pyramis, 세모꼴의 빵)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이집트의 건축가들은 엄청난 크기의 피라미드를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