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석재
바위
암석
암벽
암반
돌멩이
스톤
스페셜
"
돌
"(으)로 총 186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밖 행성 내부엔
돌
섞인 얼음층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8
물이 풍부한 외계 행성 내부 구조를 형상화한 그림. 맨틀 내부의 물층(파란색)이 암석층(갈색)과 섞여 점진적인 변화를 보인다. 연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천왕성과 같은 거대 얼음층을 가진 행성의 내부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다른 새로운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실험으로 확인하는 데 성공했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일반상대성이론의 성립
2021.05.13
가장 중요한 상수인 플랑크상수를 0으로 보내는 극한에서는 고전역학의 결과로 되
돌
아간다. 이를 ‘대응원리(correspondence principle)’라고 부른다. 대응원리의 관점에서 보자면 과학이 발전하는 궤적은 단절적이고 불연속적이라기보다 포괄적이고 연속적이다. 일반상대성이론은 아인슈타인이 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아인슈타인의 생애 가장 행복했던 생각
2021.04.29
만드는 방법은 우주선을 빙빙
돌
리는 것이다. 우주선에 원형의 구조물을 만들어 빙빙
돌
리면 그 회전에 의한 원심 가속도가 중력가속도와 같게 만들 수 있다. 우주비행사가 그 구조물의 바깥쪽에 발을 디디면 지구 표면에서와 똑같은 중력환경을 느끼게 될 것이다. 우주비행사에게는 우주선의 일부 ... ...
[지구는 살아있다]펀치볼, 2억년간 빗방울이 만든 '딥 임팩트'
2021.04.18
틈이 생긴다. 틈 사이로 들어간 물이 얼면 얼음의 부피가 커져서 암석이 부서져 작은
돌
더미가 된다. 이 과정을 ‘물리적 풍화(기계적 풍화)’라고 부른다. 우경식 교수가 해안분지의 지층을 보고 있다. 쌓인 흙 아래로 화강암이 드러나 있다. 이광춘 제공 그런데 풍화는 화학 반응을 통해서도 ... ...
[르포]기후변화로 멸종위기 맞은 ‘구상나무’, 유전자 관리로 제2 전성기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6
시험지로 향하는 등산이 시작됐다. 발길이 드문 산길은 수풀로 우거져 있었다. 길 곳곳에
돌
이 높게 튀어나와 산행을 방해했다. 고지대 답게 바람도 많이 불었다. 소백산맥의 서부에 속하는 산 답게 소백산맥의 줄기가 뻗은 모습이 좌우로 보였다. 약 1시간 등반 끝에 복원 시험지 입구에 도착했다. ... ...
코로나19로 숨진 우주과학자, 화성의 언덕 이름으로 영원히 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밝혀냈다. 초기 화성 대기를 재현하고 화성 대기에 수소(H)가 존재했다면 소행성 충
돌
로 이산화질소와 삼산화질소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 국제학술지 'JGR 플래닛' 12월 19일자에 실었다. 그는 화성 연구뿐 아니라 지구에서 번개가 생명체 발생에 끼친 영향을 연구하는 등 다양한 ... ...
[인터뷰] "무관심하되 항상 보라" 식물을 잘 키우는 비결
과학동아
l
2021.04.03
목표였죠.” 이후 미국 델라웨어대 롱우드대학원에서 대중원예 석사학위를 받고 한국에
돌
아와 테마파크인 에버랜드에서 정원 기획자로 일했다. 현재는 지난해 10월 개장한 국립세종수목원에서 전시기획운영을 책임지고 있다. ‘식물의 신’처럼 보이는 가드너지만, 의외로 그는 수없이 많은 ... ...
내년 발사될 달 궤도선 2030년 달 탐사선 착륙후보지 49곳 정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1
8월 초 발사될 예정이다. 달 궤도선은 목표 궤도에 도착한 뒤 1년간 달 상공 100km 궤도를
돌
며 다양한 과학 임무를 진행한다. 향후 발사할 한국형 달 착륙선의 착륙 후보지를 탐색하고, 달 표면의 편광영상을 확보해 분석하며, 자기장 측정기를 이용해 달의 생성 비밀을 찾는다. 심우주 탐사용 ... ...
[화성사운드트랙]'덜컹덜컹' 화성을 달리는 퍼시비어런스의 저속주행음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인지뉴이티’의 비행도 4월 중 시작될 전망이다. 퍼시비어런스는 착륙지점 주위를
돌
며 인지뉴이티를 날리기 적합한 지점을 탐색해 왔다. NASA는 17일 인지뉴이티의 발사 시험장을 정한 상태라고 밝히며 23일 자세한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발표했다. 인지뉴이티는 지구의 31일에 해당하는 화성일 ... ...
노화 불가피 ‘허블’ 대신할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지상 테스트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힘과 지구의 원심력이 같은 지점으로, 별도 추진 장치 없이 지속적으로 지구 궤도를
돌
수 있다.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외 적외선 대역 관측도 가능해 우주의 더 깊숙한 공간을 관측할 수 있다. NASA는 지난해 8월 말 최종 조립이 마무리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에 대해 지난 2월 노스롭그루먼사에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