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스페셜
"
높이
"(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 달 유로파 표면 아래 얕은 곳에 액체 물 있을 가능성"
연합뉴스
l
2022.04.20
지형인 이중 융기 구조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유로파의 이중 융기 구조는
높이
가 300m, 길이가 수백㎞에 이를 정도로 규모가 크며 유로파 표면 전체에 걸쳐 거미줄 같은 선 형태로 관측된다. 연구팀은 표면 고도와 레이더 관측 자료 등을 활용해 그린란드의 이중 융기 구조가 표면의 ... ...
2024년 열기구 타고 호화 우주여행 떠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9
궤도에 머무른다. 하강 역시 약 2시간 정도 소요된다. 풍선의 부피는 50만9703세제곱미터,
높이
는 약 213m에 이른다. 열기구 캡슐에는 8명이 앉을 수 있다. 음료와 다과 바, 와이파이(WiFi)가 제공된다. 회사는 식당이나 결혼식의 목적 등으로도 캡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포인터 ... ...
미국 아르테미스 계획 시작부터 '삐걱' 달 탐사용 로켓 시험 잠정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연료주입이 멈췄다. 2014년부터 개발된 SLS는 2단으로 이뤄진 NASA의 차세대 우주로켓이다.
높이
만 111.25m로 30층 건물 정도의 초대형 로켓이다. 지구저궤도에 143톤(t)의 탑재체를 올릴 수 있어 지금까지 인류가 개발한 로켓 가운데 추진력이 가장 크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아폴로 탐사선을 보낸 '새턴5 ... ...
[르포]멸종위기 토종 '산개나리', 100년전 처음 발견된 곳에서 '10년째 복원 중'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처음 발견된 산개나리는 한반도 특산식물이자 천연기념물 제388호로 지정된 식물이다.
높이
가 약 1m까지 자라며 흔히 길에서 볼 수 있는 개나리와 달리 잎 뒷면에 뽀송뽀송한 솜털이 있고 약간 옅은 색깔을 띤다. 열매가 ‘연교’라는 한약재로도 쓰이며 오랜 시간 우리 민족과 함께 해왔다 하지만 ... ...
[2022 필즈상 후보] (5) 함수의 뿌리를 탐구한 알렉산드르 로구노프 교수
수학동아
l
2022.04.09
로구노프 교수는 다음 필즈상 수상도 기대할 수 있는 젊은 나이지만 도전 정신을
높이
평가받아 이번에 필즈상을 탈 수 있을지 수학계의 눈길이 쏠리고 있습니다. ... ...
통가 대규모 화산 폭발 원인은 바닷물 급격한 기화 작용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2.03.30
8분 동안 대규모 분화가 발생했다. 화산재와 화산가스가 만든 기둥 모양의 구름
높이
가 당시 19.2㎞까지 솟구친 것으로 관측됐다. 분화 직후 쓰나미가 발생해 1만㎞나 떨어진 남미 대륙에도 피해를 입혔다. 이 화산은 인도 호주판에 위치한 토푸아 화산대에 있는 많은 화산 중 하나다. 하지만 평소 ... ...
명왕성에는 얼음입자를 분출하는 화산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30
스푸트니크 평원 중에서도 남서쪽에 위치한 약 1000km2의 지역을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높이
가 최대 7km, 너비가 최소 10km에서 최대 150km까지 이르는 얼음화산들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지구에서 가장 큰 화산 중 하나인 미국 하와이 마우나로아 화산과 크기가 비슷한 얼음화산도 있었다”며 “이런 ... ...
일본 후쿠시마 앞바다 규모 7.4 강진…원전 냉각장치 작동 중단되기도
동아사이언스
l
2022.03.17
1m 쓰나미 주의보를 발령했다. 17일 오전 2시 14분 미야기현의 이시노마키항에서는 30㎝
높이
의 쓰나미가 관측됐다가 이날 오전 5시께 쓰나미 주의보는 해제됐다. 한국 기상청은 지진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밝혔다. 동일본대지진의 여파로 원전 사고가 일어났던 후쿠시마 원전에서는 ... ...
북극 바다밑서 6층 건물 규모 구멍 등 싱크홀 41개 발견…'느린 기후변화' 원인 추정
동아사이언스
l
2022.03.15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 같은 기간 핑고로 불리는 화산 모양의 얼음 언덕도 발견했다.
높이
가 50m, 지름이 10m 이르는 거대 얼음언덕들이다. 연구팀은 “북극 해저 지형의 이런 급격한 변화들은 수중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생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기간 동안 북극 해저 26㎢ ... ...
미국 달 복귀 임무 타고 갈 초대형 우주발사체 SLS 18일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15
SLS 상상도. NASA 제공. 2014년부터 개발된 SLS는 2단으로 이뤄진 NASA의 차세대 우주로켓이다.
높이
만 111.25m로 30층 건물 정도의 초대형 로켓이다. 지구저궤도에 143t의 탑재체를 올릴 수 있어 지금까지 인류가 개발한 로켓 가운데 추진력이 가장 크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아폴로 탐사선을 보낸 '새턴5'보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