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에너지
에네르기
스페셜
"
내부에너지
"(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전기연, 감전 위험 없이 전기설비 내부 확인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1.11
배준한 전기연 책임연구원. 전기연구원 제공. ■ 한국전기연구원은 배준한 기업총괄지원실 책임연구원이 위험한 고전압 전기설비의 내부 상태를 문을 열지 않고 외부에서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 무선 통전 알림 기술’을 세계 첫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그동안 배전 설 ... ...
[과학게시판]에너지기술연, 콘퍼런스 ‘KIER Conference 2021’ 성황리 마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28
김종남 에너지기술연구원장이 27일 열린 콘퍼런스 'KIER Conference 2021’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이 지난 21~22일 양일간 콘퍼런스 ‘KIER Conference 2021’을 온라인으로 열고 최신 에너지·탄소중립·기후변화 연구성과와 기술 노하우를 공유하고 소 ... ...
단백질 구조 해독 AI 만든 백민경 미 워싱턴대 연구원, 사이언스가 뽑은 최고 혁신 연구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수십년 걸리는 단백질 구조 수 분만에 해독 선정 시작 25년만에 한국인 연구자로는 최초 인공지능(AI)으로 단백질 구조 해독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인 연구가 1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가 뽑은 올해 최고의 혁신적인 연구 성과에 선정됐다. 인공지능(AI)으로 단백질 구조 해독 시간을 ... ...
2억광년 밖 우주 '암소' 정체는 블랙홀 또는 중성자별 탄생 순간
연합뉴스
l
2021.12.14
X선 자료 분석 결과 1천㎞ 이하 압축 천체…주변 별 흡입 중형 블랙홀 가능성도 배제 [Sloan Digital Sky Survey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 2018년 6월 16일 약 2억 광년 밖 헤르쿨레스자리의 은하(CGCG 137-068) 나선팔에서 포착돼 미스터리가 돼온 밝고 푸른 섬광의 정체가 블랙홀이나 중성자별인 것으로 제 ... ...
중성자별 충돌은 우주의 황금 광맥?
과학동아
l
2021.12.12
ESO 제공 뜨거운 별 내부에서 양성자는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하고, 여기서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진다. 그러나 별에서 생성되는 원소는 대부분 철보다 가벼운 것들이다. 무거운 원소는 주로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충돌, 또는 중성자별끼리의 충돌을 통해 생성된다. 최근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 ...
한국형 인공태양 KSTAR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 30초 운전 세계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11.22
한국의 인공태양 KSTAR가 이온온도 1억 도 초고온 플라즈마 30초 유지에 성공했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한국의 인공태양 KSTAR(케이스타)가 핵융합 에너지를 내는 데 핵심 조건인 이온 온도 1억도의 초고온 플라즈마를 30초간 유지하며 초고온 플라즈마 장시간 운전 세계 기록을 또다시 경신 ... ...
화성 여행, 화창한 2030년대에 떠날까?
과학동아
l
2021.10.09
스페이스X의 유인 우주선 '크루 드래건'. 스페이스X 제공 스페이스X 등의 활약으로 우주여행 시대가 열리며 화성 여행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우주에 존재하는 우주방사선은 유인 탐사에 여전히 걸림돌이 되고 있다. 위험을 피해 화성에 갈 수 있는 날을 찾을 수도 있을까. 미하일 도 ... ...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로 가는 자동차 회사들
2021.10.08
혼다가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한 ‘비전 2030’의 일환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소형위성 발사용 로켓을 포함한 신규 프로젝트 4개를 공개했다. 혼다 제공 우주를 향한 자동차 회사들의 레이스가 시작됐다. 미국과 일본, 중국의 주요 자동차 기업들이 속속 우주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분위기를 달구고 있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기후변화 문제로 지평 넓힌 물리학
2021.10.06
노벨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지구의 복잡한 기후와 무질서한 물질에 대한 인류의 이해를 넓힌 물리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마나베 슈쿠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와 클라우스 하셀만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 조르조 파리시 이탈리아 사피엔자대 교수다. 이들 중 마나베 교수와 하셀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전문가 양창덕 UN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양창덕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과기정통부 제공 양창덕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가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적 한계를 뛰어 넘는 차세대 태양전지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과 안정성을 더욱 높인 공로로 이달의 과학기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