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나라사랑"(으)로 총 8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2018.04.07
- GIB 제공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 자존감을 수호하고자 하는 인간의 의지, 그러니까 자기 자신을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인간의 의지는 대단하다. 일례로 내 삶이 잘못되어 가고 있는 것과 내 삶이 잘못되어 가고 있다고 스스로 ‘인정’하는 것은 다른 문제다. ‘그래도 아직 나는 대단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2017.11.07
- 우리가 가진 최대의 잘못된 생각들 가운데 상당수 역시 타인으로부터 배운 것이다. 사회적인 영향력 때문에 사람들이 거짓 믿음 혹은 편향된 믿음을 갖게 되었다면 특정한 넛지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리처드 탈러 & 캐스 선스타인, ‘넛지’에서 올해 노벨상은 농사로 치면 대풍이다. 과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2017.07.16
- ● 네 줄 요약 1. 사람이 낯선 이를 경계하고, 자기 집단이나 나라를 더 사랑하는 것은 진화적 산물이다. 2. 사람을 포함한 동물은 가까운 곳에 살고, 서로 친하며 비슷한 외모나 냄새를 가진 대상을 좋아한다. 3. 복잡한 현대 사회에서 이런 내집단 선호는 더 이상 적합한 삶의 방식이 아니다. 4. 성을 ... ...
- 지나치게 큰 자존감이 '갑질 사회'를 만들었다?2017.06.10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실제 나의 존재와 별개로 나의 이미지, 추상적인 자아관을 지키려는 욕망은 대단하다. 생각해 보면 나의 자존심에 상처가 났다는 게 곧 나의 일상에 큰 타격을 주거나 나라는 사람의 존재 자체를 변화시키는 일인 경우는 드물다. 그럼에도 우리는 때론 나의 ‘이미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⑦ 할머니, 할아버지의 날은 왜 없을까2017.05.07
- ● 네 줄 요약 1. 한국은 조부모의 날이 없는 몇 안되는 국가 중 하나이다. 2. 조부모의 양육 보조는 오랜 인류학적 진화의 산물이다. 3. 그러나 조부모 양육의 비중이 너무 높아지면, 오히려 좋지 않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 4. 조부모 단독 위탁 양육에 대해서는 충분한 사회적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 ... ...
- 백인 미국인은 한국인을 어떻게 볼까?2016.11.15
- 대선 이후 미국은 각종 인종차별과 여성, 소수자 혐오로 몸살을 앓고 있다. 히스패닉계 교수의 강의실에 낯선 백인들이 난입해 “닥치고 너네 나라로 돌아가라”는 발언을 한 사건이나, 모 대학에서 흑인 학생들이 단체로 흑인 비하 발언과 함께 ‘린치 협박’을 받기도 했다. 모 후보가 대놓고 차 ... ...
-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2016.07.19
- ●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우선 대답은 ‘그렇다’이다. 하지만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은, 수십년간의 걸친 연구들에 의하면 돈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약 10% 정도로 행복을 ‘전부’ 살 만큼은 아니라는 것, 가진 액수자체보다 중요한 것은 돈을 ‘어떻게 쓰느냐’라는 것이다(Diener et al., 1999; ... ...
- 피할 수 없을 땐 자기합리화?!2016.07.05
- 불행을 원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삶 속에서는 현실적으로 피하기 어려운 불행과 부조리들을 마주하기 마련이다. 이렇게 피할 수 없는 나쁜 일들을 마주했을 때, 사람들은 어떤 반응을 보일까. 맞서 싸우는 것 못지 않게 또는 그 이상으로 흔한 대응법은 ‘있을 법한 일’ ‘원래 그런 것 ... ...
- "과학기술의 미래, 기초 연구에 달렸다"IBS l2016.07.05
- 지난 6월 1일 한국경제신문사와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최한 'STRONG KOREA 창조포럼 2016'이 서울 밀레니엄 힐튼호텔에서 열렸다. 이 포럼은 한국경제신문이 2002년부터 지속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는 과학기술 강국 만들기 범국민 캠페인의 일환으로, 이공계 인재를 육성하고 과학기술을 발전시켜 국가 경 ...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2016.06.20
- 지난 2014년 플로레스섬 마타멩어에서 70만 년 전 인류의 오른쪽 아래턱뼈 일부(가운데)와 치아가 발견됐다. 분석 결과 2003년 발굴된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턱뼈(위)와 구조와 크기가 비슷해 그 직계조상으로 보인다. 이들은 호모 에렉투스가 왜소화된 인류라는 게 유력한 가설이다. 아래는 호모 ... ...
이전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