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스페셜
"
기능
"(으)로 총 1,67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차세대 2차원 반도체 다
기능
전자 소자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및 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양극성 반도체 특성을 가진 2차원 나노 반도체 기반의 다
기능
전자 소자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기존 실리콘 반도체보다 성능이 뛰어난 이황화 몰리브덴(MoS2)은 층상 구조의 2차원 반도체 나노 소재로 전자가 흐르는 N형 반도체 특성을 가지면서 대기에서 안정적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국내 연구진, 뇌속 노폐물 청소 경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7
통해 목 부위 안쪽 림프절로 배출되고 노화에 따라 림프관이 퇴화하면 뇌척수액 배출
기능
이 저하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뇌의 앞쪽과 중간 부위 뇌척수액이 배출되는 경로까지 찾았다. 실험용 생쥐의 척수액에 형광물질을 주입한 뒤 생쥐의 두뇌를 관찰했다. 뇌척수액은 목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작용해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구조 연구로 특정 항생제가 리보솜의 어느 부위에 개입해
기능
을 교란하는지 명쾌히 밝히면 항생제 내성이 생기는 이유와 새로운 항생제 분자를 설계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책을 보면 2000년 좋은 논문을 냈음에도 라마크리슈난은 여전히 신참자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지도로 1927년에 박사학위를 받은 뒤보스(Rene Dubos, 1901-1982)는 졸업 후에도 세균의
기능
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 왁스먼은 뒤보스에게 세균 종류를 바꾸어 가면서 곰팡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 효과를 보이는 물질을 찾아보자고 했다. 뒤보스는 록펠러 연구소에서 근무하던 1939년에 세균을 죽일 수 ... ...
[사이언스게시판] 한국공학한림원, 정부 관계자 초청 나노기술 주제 'NAEK 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수 있다.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첨단방사선연구소가 미국 텍사스대 댈러스캠퍼스 다
기능
유연소자 분야 공동연구센터, 미국 광소자 전문기업 머스탱 옵틱스와 17일 내방사선 반도체 기술 확보 및 국제 공동 연구를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서 이들 기관은 공동연구 ... ...
[과기원NOW] UNIST, 고순도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교수와 서동화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고순도 그린수소 생산용 이
기능
성 수전해 촉매를 만들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선 루테늄, 실리콘, 텅스텐 기반의 산화물로 촉매를 개발했다. 개발된 촉매는 루테늄 원자 주변에 텅스텐과 실리콘이 도핑된 구조로 촉매 표면에 양성자 흡착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살아남지 못한다. 그런데 척추동물의 진화과정에서 피레트린이 달라붙지 못하면서도
기능
을 유지하는 변이가 일어났다. 덕분에 사람과 새는 피레트린에 노출돼도 별문제가 없다. 다만 어류나 고양이 같은 일부 척추동물은 피레트린을 해독하는 효소가 없어 여전히 위험하다. 피레트린에 취약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포유류 최초' 생쥐의 뇌세포 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3.12.16
면밀히 그려낸 첫 지도라며 이를 통해 신경학적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적 변이와 뇌
기능
에 영향을 미치는 뇌 세포의 특성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유전자가 고장난 상태다. 이 유전자가 지정한 ABCG5는 수송체 단백질로 보이는데 정확한
기능
은 모르는 상태다. 그런데 이 유전자가 고장나 ABCG5 단백질이 만들어지지 않는 게 왜 하배축을 투명하게 만들까. 정상 애기장대(왼쪽 WT)에 비해 변이체 애기장대(왼쪽 abcg5)의 하배축 투명도가 높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
2023.12.03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행해지고 있다. 중세에 이슬람권에서는 눈의 구조와
기능
에 대한 연구가 활발했다. 10세기 페르시아 의사 알 라지(Muhammad ibn Zakariya al-Razi)는 수술법에 대한 기록을 남겼으며 이븐알리(Ammar ibn Ali of Mosul)는 1000년 경에 백내장을 치료하기 위해 주사기와 흡입술을 사용했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