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작업
사역
취업
과업
직업
야간근무
스페셜
"
근무
"(으)로 총 7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에 바이오 기회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이어졌다. 이 서기관은 현재 휴직하고 미국 유타주립대학교 약학대학 연구소 연구원으로
근무
하고 있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기획한 이번 한국 바이오정책전문가 방한 일정은 현지시간으로 24일까지 계속된다. 이튿날인 18일에는 베이커스 관계자들과 함께 전문가 좌담회 및 공동토론회를 열 ... ...
기술 벤처가 살아남는 모범적인 방법
KOITA
l
2013.04.26
마침내 1980년 제이콥스와 비터비는 회사를 나오고 링커비트 매각시 ‘동종 업계에 5년간
근무
하지 않는다’는 조항에 따라 1985년에야 퀄컴에 합류한 것이다. 당연히 제이콥스와 비터비에게는 오랜 기간 동안 축적되고 NASA와 군부대에서 실증을 거친 통신기술들이 있었다. 게다가 제이콥스는 유능한 ... ...
주민등록증 이젠 몸 속에 넣고 다닌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2
개인의 신분확인, 건강관리, 자산관리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가령 미 CIA에
근무
하는 김 씨는 보안지역을 통과할 때 더 이상 신분증이나 지문, 홍체 인식 없이도 자연스럽게 통과할 수 있다. 보안지역에 설치된 스캐너가 김 씨의 몸속에 있는 베리칩으로부터 무선 전자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 ...
“세계적인 제약기업과 병원 등 바이오 분야의 ‘선수’가 필요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6.12
석사 2002년 3월~2005년 7월 기획예산처 민간투자제도과장 2005년 8월~2007년 9월 세계은행(IBRD)
근무
2007년 10월~2008년 1월 기획예산처 전략기획팀장 2008년 2월~2010년 1월 기획재정부 복지예산과장 2010년 2월~2010년 7월 청와대 과학기술비서관실 선임행정관 2010년 8월~2012년 3월 청와대 서민정책비서관실 ... ...
“한반도 기후 아열대화는 위기이자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1.12.26
-1985 군입대 (ROTC) -1987 경제기획원, 농림부 사무관 및 서기관 -2000 투자심사담당관, FAO
근무
-2003 장관 비서관 -2004 유통정책과장 -2005 혁신인사기획관 -2006 구조정책과장 -2007 국방대학교 파견 -2008 주 제네바유엔사무처 및 국제기구대표부 공사참사관 -2011 녹색성장정책관(현)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 ...
“종자 주권이요? 아직 논할 단계도 아닙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2.08
가망 없어 오영석 상무는 -1980 ~ 1987 동국대 식물자원학과 학사 -1986 ~ 2000 흑농종묘
근무
-2001 ~ 2005 세미닉스코리아 영업마케팅본부장 상무이사 -2006 ~ 2009 세미닉스코리아 자판 대표이사 -2009 ~ 현재 동부한농 종자사업부 상무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 ...
생명연, 해외 우수인력 대거 모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5.03
우수 인력이 불안해하지 않고 한국에서 연구를 이어갈 수 있도록 미국에 뒤지지 않는
근무
여건과 처우를 마련할 계획입니다. 또한 최고의 연구 환경을 만들어 출연연이 불안하다는 생각을 바꿀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박 원장은 1일까지 NIH에서 30여명, 보스톤 하버드대에서 70여명의 한국인 ... ...
“육종센터, 전경이 24시간 지키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0.02.23
유출되면 그동안 축적한 기술이 전부 노출되는 것입니다. 육종센터를 전경이 24시간 경계
근무
를 서며 지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양식을 하는 어민들이 살아있는 물고기를 쉽게 남에게 주지 않는 것도 필요합니다. 한 마리가 유출된다고 오랜 기간 축적한 육종기술을 쉽게 따라 잡히지는 않겠지만 ... ...
“생명과학자가 쉽게 부자 되는 법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2.14
모두 기술력 하나를 무기로 시장개발에 나선 결과다. 이런 성과로 바이오나노연구센터에
근무
하는 박사급 과학자 8명 중 절반 이상은 억대 연봉자로 분류된다. 정 박사 역시 마찬가지다. 이런 정 센터장이 국내 생명공학의 발전방향에 대해 던진 의견은 뭘까. 그는 생명과학계를 위해 조언을 달라는 ... ...
“한국을 역분화 줄기세포 중심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09.09.14
지원에 집중할 때다.” 한용만 KAIST 교수는 줄기세포 전문가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근무
하다가 지금은 KAIST로 옮겨 인체줄기세포를 연구하고 있다. 2001년에는 동물복제의 실패율이 높은 이유가 세포의 DNA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혀내 과학저널 ‘네이처 제네틱스’에 논문을 ... ...
이전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