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고도"(으)로 총 6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 독자 우주발사체 능력 확보했다...누리호 두번째 시도끝에 발사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2.06.21
- 만에 2차 발사를 성공한 것이다. 이번 발사 성공으로 한국이 자력으로 1.5t급 실용위성을 고도 600~800km의 태양동기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발사체 기술을 확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자력으로 우주발사체를 보유한 국가는 10개국이다. 러시아,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일본, 인도, 이스라엘, 이란, ... ...
- [속보]성능검증위성, 위성모사체 모두 목표 고도, 속도로 올려놔 동아사이언스 l2022.06.21
- 누리호 2차 발사 ...
- [영상+]누리호 예상보다 17초 빠른 950초 만에 위성모사체 분리…발사 긴박했던 순간들동아사이언스 l2022.06.21
- 발사 274초 후 고도 258km에서는 2단 로켓이 연소를 마치고 분리됐다. 이륙 880초 후 고도 700km에서 성능검증 위성 분리가 확인됐다. 기존 예상시간인 897초보다 17초 빨랐다. 누리호의 탑재체 중량인 1.5t을 맞추기 위해 함께 우주로 향하는 1.3t 무게 위성모사체는 950초에 분리됐다. 기존 예상 분리시간은 ... ...
- "누리호 발사 성공 기준은 초속 7.5km 700km 상공에 위성 올려놓는 것"동아사이언스 l2022.06.21
- 개 다 성공적으로 투입돼야 성공인가 A 명확한 기준은 없다. 발사 후 14분 57초 뒤에 700km 고도에 올라가는게 목표다. 성능검증위성 분리 1분 뒤에 위성 모사체가 분리된다. 1차적으로 성능검증위성이 분리되면 위성모사체도 분리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누리호 비콘신호 수신 및 지상국 교신 일정. ... ...
- 과기정통부 누리호 1.5t 위성 발사능력 검증한다더니 발사 1시간여 앞두고 성공기준 축소동아사이언스 l2022.06.21
- 고 말했다. 오 차관의 이런 발언은 누리호에 이번에 실린 1.3t 위성 모사체가 700km 고도에서 7.5km속도로 궤도로 밀어넣지 않고 질량이 10분의 1 정도에 불과한 성능검증위성을 궤도에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성공으로 판단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는 점에서 논란이 될 전망이다. 실제로 또 다른 ... ...
- 과기정통부 "누리호 준비 상태와 기상 상황, 오늘 발사하기 적합"...추진제 충전 착수동아사이언스 l2022.06.21
- 이 과정에서 페어링을 떨어뜨린다. 발사 후 274초 뒤에는 다시 2단을 분리하고 897초 뒤 고도 700km에 도달하면 성능검증위성을 분리한다. 967초에는 위성 모사체를 분리한다. 성능검증위성과 위성 모사체 분리 성공 여부는 발사 약 30분 후 확인할 수 있다. 누리호는 길이 47.2m, 무게 200t으로 무게 1. ... ...
- [누리호 2차 발사]발사와 관련된 세 가지 과학기술 상식동아사이언스 l2022.06.21
- 75t급 엔진을 실은 누리호 시험발사체가 지난 2018년 11월 시험발사에서 151초간 연소해 최대고도 209㎞에 도달하며 한국은 세계에서 7번째로 중대형 액체연료 엔진 기술 보유국이 됐다. 누리호 1단은 75t급 엔진 4기를 묶어 300t의 추력을 내도록 했다. 이처럼 엔진을 묶어 필요한 추력을 내는 방식을 ... ...
- [누리호 2차 발사]후속 발사로 신뢰성 높이고 차세대 발사체로 달 착륙 도전동아사이언스 l2022.06.21
- 항우연과 공동 수행한다. 재사용 발사체 핵심 기술 등 차세대 발사체 개량과 고도화에 활용할 핵심기술을 선별해 선행 연구도 진행한다. 차세대 발사체 사업에서 첫 발사는 2030년이지만 첫 발사에서 성능이 검증되지 않은 만큼 달 착륙 검증선을 보내고 2031년 달 착륙선을 발사한다는 계획이다. ... ...
- [누리호 2차 발사]성공을 위한 결정적 순간들동아사이언스 l2022.06.21
- 2단은 발사장에서 2800km 떨어진 해상에 떨어진다. 페어링 분리는 발사장에서 251km 떨어진 고도 191km에서 이뤄지는데 실제 낙하지역은 발사장에서 1514km 떨어진 해상으로 예측된다. 장 부장은 “실제 사람이 살지 않는 곳에 떨어지도록 발사 시퀀스를 구성했다”고 말했다. 누리호 비콘신호 수신 및 ... ...
- [누리호 2차 발사]1차 발사와 무엇이 다른가동아사이언스 l2022.06.21
- 누리호의 우주궤도 투입 성능을 검증하는데 쓰일 예정이다. 누리호가 고도 700km, 초속 7.5km의 비행 속도를 달성 후 성능 검증 위성을 분리한다. 그런 다음 위성 모사체가 분리된다. 이 과정이 모두 끝나면 임무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 남극세종기지에서 발사 약 46분 후 성능검증위성과 최초로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