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가
부착
첨증
첨가
추가
더하기
보태기
뉴스
"
첨부
"(으)로 총 76건 검색되었습니다.
운석일까? 아닐까? 운석신고센터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3.12
작성하고 전문가의 감정을 받을 수도 있고, 온라인으로 운석감정의뢰서와 사진을
첨부
해 감정을 받을 수도 있지요. 그래서 기자단 친구들도 감정 받고 싶은 돌을 가져왔답니다. 과연 이 돌은 운석이 맞을까요? 화성 운석(왼쪽)과 달 운석(오른쪽)의 모습. 소행성이 충돌할 때 떨어져 나온 조각이 ... ...
렉서스, 럭셔리 쿠페 LC500 북미서 최초 공개
동아닷컴
l
2016.01.12
3연 LED 헤드 램프 유닛과 L자형으로 발광하는 LED 클리어런스 램프(데이라이트 기능
첨부
)에 의해 우아함을 연출한다. 후면부는 프런트에서의 흐름을 받은 스핀들 형상의 테마를 채용하고 후미등 외측으로부터 세로 아래 방향으로 뻗은 턴시그널 램프와 머플러 디퓨저의 좌우 하단의 배치와 맞춰 ... ...
주한미군, 국내서 탄저균 실험 15차례나 진행
포커스뉴스
l
2015.12.18
“탄저균을 반입할 때 포장용기 내에 사균화된 탄저균 및 페스트균임을 증명할 수 있는
첨부
서류가 동봉됐다”면서 “주한미군은 활성화된 탄저균 및 페스트균을 반입할 의도는 없었다”고 밝혔다. 합동실무단 조사활동에 참여한 송기준 고려대 미생물학교실 교수는 “탄저균 포자는 실험실에서 ... ...
[지금 SNS에서는]해킹 없는 2015년… SNS 조금 심심하셨죠?
동아일보
l
2015.12.11
졸업앨범이나 동문회 초청장으로 위장했습니다. 메일 수신자가 졸업한 학교 이름을
첨부
파일 이름에 넣는 식입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했는데 만약 ‘○○고등학교 졸업앨범.pdf’라는 파일이 있다면 누가 클릭을 안 하겠습니까. ‘그런데 공격한 놈들이 북한이 맞아? 매번 다른 놈일 ... ...
아하! 추석 ‘블러드문’ 이렇게 뜨는구나~
2015.09.27
못하지만 이번 블러드문을 잘 설명해주는 미 항공우주국(NASA)의 애니메이션을 하나
첨부
합니다. 2018년 볼 수 있는 '슈퍼문+블러드문'을 위해 예습하면 좋겠어요! 영상을 보시려면 아래 그림을 '클릭'하세요!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공 ... ...
떠오르는 사물인터넷? 보안먼저 해결해야
과학동아
l
2015.08.28
비율 등의 정보는 암호화된 파일의 헤더(데이터 파일의 정보가 보관돼 있는 부분)에
첨부
된다. 하지만 두 방법 모두 RSA알고리듬에 비해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대해 백종현 한국인터넷진흥원 융합보안산업팀장은 “모든 사물인터넷 기기에 높은 안정성이 필요한 것은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과학 저널리즘의 미래, 데이터가 답이다.
수학동아
l
2015.06.12
분량이 정해져 있는 기존의 형식에서 벗어나, 연구에 쓰인 대부분의 데이터를 논문에
첨부
하고 누구나 공유할 수 있게 온라인에 발표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실제로 데이비슨 박사가 속해 있는 오픈 저널 사이트 ‘기가사이언스(GigaScience)를 방문하면 누구나 게재된 논문의 데이터를 손쉽게 ... ...
이번 주말은 하지(夏至), 태양 관측 여행을 떠나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4.06.18
100명)할 수 있으며, 참가접수는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홈페이지(http://asd.so/Tme)에
첨부
된 신청서를 작성해 이메일(steinstein@kywa.or.kr)로 보내면 된다.(문의: 061-830-1589, 1574 ... ...
설익은 바이오 미세유체기술
과학동아
l
2014.03.16
1~1.5cm 정도인 소금쟁이들이 수면 위로 10cm 이상 뛰어올랐다가 착지하는 동영상을
첨부
해 이해를 도왔다. 또 사이언스는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마이크로유체역학실험실 김호영 교수팀이 관찰한 흥미로운 표면장력 작용 사례를 동영상과 함께 소개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쌍떡잎식물 ... ...
황우석의 악몽, 日에서 재현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4.02.17
기술 오류일 가능성이 가장 커 보여 학술지 편집부에서 요구하는 연구결과를 새로
첨부
하는 정도에서 끝날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만약 오류나 조작이라는 사실이 밝혀질 경우 STAP 세포가 태반으로 분화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철회해야 할 것”이라 말했다. 2013년 5월 미국 오리건대 ... ...
이전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