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뉴스
"
천문학
"(으)로 총 89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청 주요 임무라더니…소행성 '아포피스' 탐사 좌초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8.26
적어도 2027년에는 지구를 떠나야 했기 때문이다. 2022년 예타 탈락 당시 적지 않은
천문학
자들은 "2023년부터 탐사선 개발을 시작해야 했다"면서 "예타 탈락으로 탐사 기회가 아예 사라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올해 천문연은 우주청에 아포피스 탐사 예산으로 예타 당시 3873억원에서 규모를 줄여 ... ...
동해에 뜬 '대왕고래'…과학자들이 말하는 영일만 유전 개발
과학동아
l
2024.08.24
시작일 뿐 심해 시추는 특히나 더 철저한 경제성 평가가 필요하다. 시추에 필요한 비용이
천문학
적이기 때문이다. 최종근 교수는 "일단 바다 심도가 깊어서 고사양의 시추선을 써야 한다"면서 "시추선을 빌리는 비용인 용선료가 하루에 55만 달러(약 7억 5880만 원)가 넘을 정도"라고 설명했다. 시추 ... ...
해상도 100배 빛 측정 센서 개발…정밀한 자율주행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분석해 입사된 빛의 파면을 복구한다. 샥-하트만 파면 센서는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해
천문학
및 광학 시스템 평가 등 산업 현장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마이크로 렌즈 크기 때문에 공간해상도가 제곱밀리미터 당 100개 수준으로 제한돼 복잡한 물체의 위상 이미징이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 ...
달에 조선
천문학
자 이름 딴 '남병철 크레이터'…첫 한국 명칭
동아사이언스
l
2024.08.19
지구, 태양, 달 등 여러 천체의 움직임을 재현하고 그 위치를 측정하는 기기로 현대
천문학
으로 넘어오기 이전까지 표준이 된 천체관측기구다. 이번 남병철 충돌구 명명은 달 표면 지형에 붙여진 이름 중 대한민국이 제안해 조선 학자의 이름이 부여된 첫 사례다. 남병철 충돌구는 1980년 이후 ... ...
"달에 희박한 대기 생긴 주된 이유는 운석 충돌"
동아사이언스
l
2024.08.04
으로 30% 형성됐다는 분석이다. 하전입자는 전하를 띠고 있는 입자를 뜻한다.
천문학
자들은 1980년대 달 표면에서 얇은 원자층이 튀어 오르는 현상을 발견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013년 달의 옅은 대기, 표면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원격 수집하는 궤도 탐사선 '래디(LADEE)'를 보내 수집한 ... ...
목성보다 6배 큰 외계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알려진 목성보다 6배 큰 외계행성이 포착됐다. 엘리자베스 매튜스 독일 막스플랑크
천문학
연구소(MPIA)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 중적외선 관측 장치(MIRI)로 이러한 '슈퍼목성'을 처음으로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2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게재됐다. ... ...
국제핵융합실험로 지연, 한국 책임?…전문가들 "한국 과실 없다는 결론 나와"
2024.07.22
중 하나로 "한국측이 제조한 부품이 납품된 시점에서 설계와 오차가 있었다"고 전했다.
천문학
적인 사업비가 추가로 지출되는 사업 기간 연장과 관련해 한국의 책임을 언급한 것이다. 국내 핵융합 연구 커뮤니티는 이번 ITER 완공 지연에 대해 세간에 사실과 다른 내용이 알려지고 있다며 목소리를 ... ...
한국이 노리는 소행성 '아포피스' 탐사, 유럽이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4.07.17
거주하는 약 20억 명의 사람들은 어두운 하늘에서 맨눈으로 아포피스를 볼 수 있다. ESA는 "
천문학
자들은 이같이 큰 행성이 지구에 가까이 다가오는 것은 5000년에서 1만 년에 한 번 일어나는 일이라고 보고있다"고 밝혔다. ESA는 지구와 근접하는 2개월 전인 2029년 2월 탐사선이 아포피스에 근접해서 ... ...
달 거대 구덩이에 동굴 확인…"달 기지로 유망"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유망한 지하 동굴의 존재를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1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에 공개했다. 마레 트란퀼리타티스는 1969년 인류가 최초로 발을 디딘 지역이다. 현재까지 달 표면에는 200개 이상의 구덩이가 발견됐고 일부 구덩이에서는 과거 달 용암이 땅을 파 동굴이 형성됐을 것으로 ... ...
블랙홀 진화 실마리 '중간질량 블랙홀' 우리은하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분석하면 중력파보다 훨씬 높은 질량의 블랙홀을 관측할 수 있다. 이형목 서울대 물리
천문학
부 교수는 "중력파를 이용하면 대부분 태양 질량 100배 정도의 중간질량 블랙홀을 관측한다"고 했다. 현재까지 중력파로 독일 연구팀이 발견한 블랙홀처럼 태양질량의 1000배 이상 블랙홀은 발견된 적 없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