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양
정수
정액
뉴스
"
정량
"(으)로 총 511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독가스 대신 이산화탄소로 폴리우레탄 원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9
제품의 원료 채취부터 생산·유통·사용·폐기까지 자원과 에너지, 오염물질 배출을
정량
화해 잠재적 환경영향을 평가한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올해 연속공정 개발과 공정 통합화를 진행하고 2030년경 실증을 통해 기술 양용화 가능성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영국 화학연 원장은 "유해 가스 ... ...
셀프 측정하는 폐질환 선별기술…폐질환 조기발견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폐질환 선별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기술도 획득했다. 연구팀의 기술은 성능 실험에서
정량
적으로 산화질소 최소 감지한계 5ppb, 호기 유량 최대 감지한계 900L/분을 달성했다. 기존 검진 대비 연구팀이 개발한 방법은 폐질환 조기 발견에 유리하다. 다중 감각 기반 스크리닝 장치를 주변 생활공간에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한국에너지공단 ‘탄소C그널 순회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관련 자체 조사를 한 결과, 지난 3년간 좋은 성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정량
지표를 살핀 결과 사업비 145억원과 1756개 기업에 대한 3687건 기술 지원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재료연이 수행하는 ‘종합서비스 기업지원사업’은 2023년 기준 14개 기업을 지원했고 ‘한독소재센터 ... ...
첨단바이오 기술 'DNA 종이접기' 구조 예측 시뮬레이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때 DNA에서 일어나는 기하학적·기계적 특성 변화를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량
화했다. 계산된 정보를 활용해 실제 실험에서 EtBr 분자 농도와 DNA 특성 변화의 관계식을 도출했다. 이를 DNA 구조체 해석에 적용하자 EtBr 농도에 따른 DNA 구조체의 기계화학적 변형을 빠르게 예측할 수 있었다.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멸종위기 동물 특별전 내달까지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05
조미영 연구원 연구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엑소좀의 정확한 생체 내 분포평가가 가능한
정량
분석 방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엑소좀은 세포 간 정보교환을 위해 분비되는 나노미터 단위 크기의 소포체(세포 소기관)다. 연구팀은 변형되지 않은 엑소좀을 검출하고 특정 DNA 서열의 양을 추정하는 ... ...
콧구멍 깊숙한 곳, 면역세포 키우는 '훈련소'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1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비강 내로 주입하는 백신 접종을 테스트할 때 면역 반응의
정량
적 변화를 측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86-024-07748- ... ...
과민성대장증후군 간편 진단키트 개발…"예후·중증도까지 알려줘"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신뢰도도 높일 예정이다. 연구를 이끈 박기선 책임연구원은 “후속 연구를 통해 질환의
정량
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개인 맞춤형 치료와 관리가 가능한 진단키트를 개발해 많은 환자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2022년 12월 특허 출원해 2023년 7월 등록됐다 ... ...
혈액암 항암제 효과 예측하는 바이오마커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형광 이미징 기법을 활용한 이 기술은 약 3만개의 미량 세포 검체로부터 개별 PPI 신호를
정량
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SMPC 기술을 통해 연구팀은 BCL2 단백질에 ABT-199가 선택적으로 결합해 세포자살을 돕는 단백질인 BAX 단백질과 BCL2 단백질 복합체를 해리시킨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로 인해 활성화 ... ...
단일세포서 분자 위치 정보 분석 기술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기존의 질량분석 장비를 활용해 하나의 세포에서 수천 개의 단백체 발현을 고속으로
정량
분석하고 공간 정보까지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먼저 기존 뇌질환 모델동물에서 뇌 조직의 3차원 영상을 만드는 기술과 단일세포에서 단백체 분석을 하는 기술을 함께 개발했다. ... ...
"가축·음식 통한 감염 가장 많아"…'인수공통감염병 지도'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영향력 수준을 파악하면 질병을 감시할 때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량
적으로 분석한 결과 오스트리아에서는 인간-가축, 인간-식품 접점에서 인수공통감염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데스바르-라리브 연구원은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인간의 동물원성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