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류
전심
전념
용병술
전압
전원
뉴스
"
전력
"(으)로 총 2,41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워커린스페이스, KT샛과 구매의향서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돕는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강현서 ETRI 호남권연구본부장은 "이번 협력은
전력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끄는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현장의 실질적 수요를 반영한 AI 기술을 통해 더욱 스마트하고 안전한 발전소 운영 체계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9일 오후 ... ...
[과기원NOW] 나노치료제로 칸디다증 치료한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전해질 사이에 나노막을 끼워 넣고 전극과 전해질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했다. 그 결과
전력
생산 및 수소 생산 속도가 향상됐고 연속 작동에도 성능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즈 케미스트리’에 실렸다 ... ...
7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박영민·권경안…선박 핵심기술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실용성·경제성이 높아 대형 모터 제어, 제철소 등에 사용된다. MMC는 주로 중·고압
전력
변환에 쓰이는 형태로 고압직류송전(HVDC)이나 대규모 설비 등에 활용된다. 박 책임 연구원은 수입과 기술제휴에 의존하던 CHB 고압 드라이브를 독자 기술로 개발하고 총 80개 모델로 상품화해 신기술 인증을 ... ...
[과기원NOW] 조재원 UNIST 교수, '똥본위화폐: 낮은 곳에서 번지하다' 출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오류정정부호(ECC) 기술을 활용해 매번 무작위 퍼즐을 생성함으로써 ASIC 독점과 막대한
전력
소비를 해결하며 PoW와 PoS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는 차세대 합의 모델을 실증한다. ECVCC는 리버밴스 실험실 창업기업의 메인넷 ‘월드랜드 My AI Network’에 적용되어 기술의 안정성이 확인됐다 ... ...
한울 1호기 임계 허용…차단기 고장 조치 완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사건이 발생했다. 안전모선은 안전설비에
전력
을 공급하는 설비고 비상디젤발전기 비상
전력
을 공급하는 장치다. 정기검사 중 조사한 결과 주제어실 조작 스위치의 접촉 불량과 차단기 자체 구동부의 윤활 부족으로 인한 작동 불량이 원인으로 확인됐다. 문제가 된 스위치 1개와 차단기 2개를 포함해 ... ...
美 이란 핵시설 공습 현장…텔레픽스 위성 솔루션이 생생히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나갔거나 외벽에 구조물이 설치돼 반사율이 달라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핵시설의
전력
, 냉각 파이프라인은 서쪽 경계도로를 따라 매설돼 있어 상대적으로 피해를 피한 것으로 보인다. 시설 가동률을 회복하려면 최소 수 주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하 시설이나 원심분리기가 위치한 ... ...
생성형AI 추론 성능 60%↑…GPU보다 효율적인 '신경망처리장치' 핵심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설계를 결합해 평균 60% 이상 성능이 향상된 NPU를 구현한 결과”라며 “고성능·저
전력
이라는 특성을 갖춘 이 기술은 향후 AI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는 물론 에이전틱 AI 등 실행형 AI 시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doi.org/10.1145/3695053.373101 ... ...
최고과학기술인상에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메모리반도체 분야 공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교수는 현재 AI의 작동 방식이 엄청난 양의
전력
과 자원을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저
전력
메모리 반도체 소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AI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를 계속 늘리는 방식만으로는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는 최근 근본적인 인간의 뇌 작동 방식을 모방한 '뉴로모픽 ... ...
빛 적응 위해 인간 시각 시스템 모방한 로봇 눈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나오는 자율주행차가 변화하는 빛 조건에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며 “저
전력
고성능 로봇 비전을 개발하는 데도 영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org/10.1063/5.026899 ... ...
[과기원NOW] GIST '이봄 AI 피아노', 글로벌 AI 리더들 매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교수는 전기차 및 모바일 기기용 무선충전 기술 개발 성과를 인정받았다. 임 교수는 "무선
전력
시장은 올해 약 37조원 규모로반도체와 회로 기술에 강점을 가진 한국이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분야"라고 밝혔다. - doi.org/10.1002/aenm.20257010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