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성
성찰
내성
내관
뉴스
"
자기관찰
"(으)로 총 585건 검색되었습니다.
임신부 뇌, 대뇌피질 줄었다…"뇌 기능 저하 아닌 애착행동 연관"
동아사이언스
l
2024.08.02
출산 준비 중인 여성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임신한 여성의 뇌에는 회복되기 어려운 물리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억과 정보통합 등을 수행하는 대뇌피질 영역이 임신 전보다 5% 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계는 이러한 뇌의 변화가 실제 뇌 기능을 저하시키 ... ...
얼굴 생김새, 이름 따라 변한다...문화적 기대 탓
동아사이언스
l
2024.07.31
낯선 사람의 얼굴일 기준으로 이름을 맞히는 실험에 사용된 이미지. Ruth Mayo 제공 "이름처럼 예쁘게 생겼네". 사람의 얼굴은 이름을 따라간다는 속설이 과학적으로 근거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름이 지닌 사회적 이미지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이 실제 외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
2024.07.2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사람의 내부를 볼 수 있는 빛의 발견 무엇인가가 눈에 보인다고 하는 것은 사람의 눈으로 그 대상이 가시광선의 빛을 발산한 것을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빛은 파장을 가지고 있고 그 파장이 약 400~700nm에 속해야 눈에 보인다. 가시광선중에서 파장이 가장 큰 것은 빨 ... ...
분자로 원자 수준 자기장 측정하는 양자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한국·독일 공동 연구진이 분자 하나로 원자 수준에서 전기장과 자기장을 측정하는 양자 센서를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한국·독일 공동 연구진이 분자로 원자 수준에서 전기장과 자기장을 측정하는 양자 센서를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양자나노과학연 ... ...
'물리학 109년 난제' 풀었다…미시세계 변화, 거시세계에 전달되는 과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자성 물질 내에서 미시세계의 입자 스핀 변화가 거시세계의 물질 회전 현상으로 이어지는 과정. GIST 제공 회전하는 물체에서 물리량인 각운동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각운동량 보존 법칙'은 물리현상의 근본적인 원리 중 하나지만 그동안 양자역학을 따르는 미시세계에서 우리가 보고 느끼는 거 ... ...
'마술 버섯' 속 환각 물질, 정신질환 개선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섭취 시 환각 증상을 일으켜 '마술 버섯'이라 불리는 환각버섯류인 가시환각버섯(학명 Psilocybe semilanceata). 위키미디어 제공 환각버섯속(학명 Psilocybe) 버섯은 먹으면 환각 증상을 일으켜 '마술 버섯(magic mushroom)'이라는 별명이 있다. 마술 버섯을 포함한 일부 버섯류에서 발견되는 환각 물질이 우울증 ... ...
맥주가 가장 맛있는 온도 논쟁 종결?
과학동아
l
2024.07.0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푹푹 찌는 여름 살얼음 낀 잔에 시원한 맥주 한모금은 어떤 음식과도 맞바꿀 수 없는 별미다. 그런데 모든 나라가 맥주를 시원하게 마시는 것은 아니다. 중국에서는 상온에 보관한 미지근한 맥주를 마시고 맥주의 본고장 독일에서도 전통 에일은 차게 마시지 않는다. 이렇게 ... ...
배아줄기세포 유래 도파민 신경세포로 파킨슨병 치료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인간의 배아줄기세포. 위키미디어 제공 인간 배아줄기세포에서 유래한 중뇌 도파민 신경세포를 뇌에 이식해 파킨슨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임상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는 장진우 고려대 안암병원 신경외과 교수와 이필휴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교수가 이끄는 임상 연구팀이 임상 시험 저용 ... ...
우울증이라고 다 같진 않다…"6개 유형별로 치료전략 다를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우울증의 6가지 유형이 확인됐다. 게티이미지뱅크 과학자들이 정밀한 뇌 영상 촬영장치와 기계학습(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우울증을 6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각 유형별로 효과가 있는 치료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인의 질환으로 불리는 우울증을 더 신속하고 세밀한 기준에 따라 진단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 자기장 시작점 기존 이론 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5
네이처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2010~2020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 태양역학관측소(SDO)가 촬영한 약 150장의 태양 사진을 합성한 이미지가 실렸다. 태양의 흑점 주기를 따라 변화하는 태양 자기장을 포착한 모습이다. 21년만의 강력한 태양 폭풍 영향으로 최근 지구 곳곳에 화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