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행성감기
감기
뉴스
"
유행성
"(으)로 총 66건 검색되었습니다.
주사보다 효과 좋은 먹는 백신 나온다
2015.06.16
면역을 활성화시키는 현상을 확인했다. 최 교수는 “현재 개발 중인 돼지 구제역과 돼지
유행성
설사병을 예방하는 백신을 이 전달체에 넣어 실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메르스 업데이트] 인간은 바이러스를 어떻게 막아내는가
2015.06.06
생존을 위해 전략을 진화시켜 왔다. 기관지에 침투해 폐렴을 일으키거나 결막에 붙어
유행성
결막염을 유발하는 아데노바이러스는 인체가 감염된 세포를 없애기 위해 ‘자살’ 명령을 내린 세포를 다시 살려내는 무기를 쓴다. 아데노바이러스는 인체에 침투한 뒤 ‘E1B’라는 단백질을 만들어 세포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
2015.05.18
MMR백신이 자폐증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에서 비롯한다. MMR은 홍역(measles), 볼거리(
유행성
이하염, mumps), 풍진(rubella)의 약자로 이들 세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섞어 한꺼번에 접종할 수 있게 만든 게 바로 MMR백신이다. 백신에 대한 불신의 역사야 18세기 천연두 백신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2 ... ...
건강하려면 잠시만요∼ 계절별로 이것만은 챙기고 가실게요
동아일보
l
2014.01.06
습관도 기르자. ○ 가을: 가을철 발열성 질환 주의보 가을철 가장 우려스러운 질환은
유행성
출혈열, 쓰쓰가무시, 렙토스피라 등 발열성 풍토병이다. 고열 두통 같은 몸살기운과 기침 구토 복통 등의 증상이 대부분. 경우에 따라서는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지난해에는 작은소참진드기로부터 옮는 ... ...
수능 사흘 앞두고… 서울 고교서 볼거리 집단발생
동아일보
l
2013.11.04
현재 21명 집에서 격리치료, 고3도 7명… 수험생 감염 우려 최근 서울의 한 고교에서
유행성
이하선염(볼거리) 환자가 집단적으로 발생하면서 7일 실시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둔 고교 3학년 수험생들의 집단 감염 우려가 나오고 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서울 D고교에서 9월부터 한두 명씩 ... ...
제주서 ‘살인 진드기’ 의심환자 발생
동아일보
l
2013.05.15
현재는 가족만 알아보는 ‘의식 저하’ 상태를 보이고 있다. 병원 측은 들쥐에 의한
유행성
출혈열, 진드기 접촉에 따른 쓰쓰가무시증에 대해 검사했지만 원인을 밝히지 못했다. 병원 측은 환자의 몸에서 진드기에 물린 흔적을 발견하고 SFTS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10일 혈액을 채취해 ... ...
이전
3
4
5
6
7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