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함
속상함
뉴스
"
원통함
"(으)로 총 236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유입 바다에서 실시간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5
지영용 한국원자력연구원 환경재해평가연구부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국내 주요 연안에 고정 배치해 직접 시료를 채취하고 주기적으로 방사능을 분석하는 ‘해상 부유식 현장방사능 분석시스템(MARK-U3)’을 개발했다. 원자력연 제공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같은 해양 방사능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심장 발달 유전자 망가뜨려 한 곳에 머무르는 삶 바꾼 유형류
동아사이언스
l
2021.11.20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8일 표지로 물속을 떠다니는 몸이 투명한 생물인 유형류의 모습을 실었다. 유형류는 멍게나 미더덕과 같은 피낭동물의 한 종류다. 피낭동물 대부분은 유아기 때는 자유롭게 헤엄치다 성체로 변하면서 바위 등에 달라붙어 사는 고착생활을 한다. 그러나 유형 ... ...
UNIST, 카이랄 액정 결함 구조 위상수학으로 해석 성공
연합뉴스
l
2021.08.24
"의학·바이오 분야 카이랄 물질 이해에도 도움 기대" 왼쪽부터 정준우 교수, 은종희 연구원, 김성조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물리학과 정준우 교수팀이 카이랄 액정의 새로운 결함 구조를 발견해 위상수학으로 해석하는 데 성공했다고 23일 밝혔 ... ...
물에서 수소 얻는 ‘수전해’ 효율·내구성 잡은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8
이번 연구를 수행한 오남근 UNSIT 연구원(왼쪽)과 서지형 연구원. UNIST 제공. 전기에너지로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리하는 수전해 기술은 탄소 배출 없이 청정 원료인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값싸고 오래 가는 촉매 물질 개발이 상용화 관건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박혜성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발사체·위성 종합솔루션 기업 꿈꾸는 KAI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전남 고흥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 조립동에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엔지니어가 누리호 비행모델의 조립을 진행중이다. KAI 제공 “한국형발사체(KSLV-2) 누리호의 첫 비행모델(FM)은 90% 이상 조립이 진행된 상태입니다. 발사대에 설치한 인증모델(QM) 시험이 정상적으로 끝나면 9월까지 전체 총조립 ... ...
[강석기의 과학카페]'비너스의 꽃바구니'로 불리는 해면 이야기
2021.08.03
서태평양 깊은 바다 바닥에 사는 유리해면류인 비너스의 꽃바구니 모습으로 콜라겐 단백질 골격으로 이뤄진 전형적인 해면과는 전혀 다른 생김새다. 위키피디아 제공 지난달 2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는 무려 8억9000만 년 전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해면동물의 화석을 발견했다는 논문이 공개 ... ...
형형색색 화려하지만 치명적인 미세플라스틱...한반도 연근해 서서히 잠식 중
2021.07.05
경남 겨제시 소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위해성분석연구센터 연구실에서 연구원들이 남해에서 직접 수집한 미세플라스틱을 적외선 분광기를 통해 확인하고 있다. 거제=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지난달 25일 경남 거제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위해성분석연구센터 연구실. 한 ... ...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쓰레기 청소 사업에 나선 기업들
2021.06.18
2020년 10월 16일 우주쓰레기를 관측하고 추적하는 미 연구기관 레오랩의 자료. 중국과 러시아의 우주파편이 1000km 상공에서 충돌할 가능성을 시뮬레이션한 모습이다. 레오랩 제공 우주 쓰레기가 국제정치 무대의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최근 영국 콘월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이 문제가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디스플레이 구동 가능한 OLED 전자섬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12
실제 일상복에 적용된 전자섬유 현미경 이미지(위)와 문자 디스플레이를 구현한 이미지(아래). KAIST 제공. ■ KAIST는 최경철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정보 출력이 가능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전자섬유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전자섬유는 실제로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소자로 인체의 다 ... ...
조선의 천문장비 자격루·앙부일구 기념우표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우정사업본부가 21일 발행하는 '조선의 천문과학' 기념우표. 우정사업본부 제공. 조선시대 우수한 천문과학 역량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자격루와 앙부일구, 일성정의시, 측우기 4종을 우표로 만나볼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4월 21일 제54회 과학의 날을 맞아 조선의 우수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