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까락
손꾸락
둘째손가락
둘째
수지
뉴스
"
손가락
"(으)로 총 734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체 특징 따라 잡는 힘 조절하는 로봇 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26
협력해 개발한 전방위 촉각센서가 활용된 로봇 손. ETRI 제공 연구팀은 로봇
손가락
이 압력 변화에 따라 LED 색상을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피드백을 줄 수 있도록 했다. 또 압력이 가해지는 부위에 센서가 직접 노출되지 않아서 지속적인 접촉에도 고장 확률이 적어 장기간 동작이 ... ...
바느질 없이 1분이면 절단 신경 봉합하는 패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영장류 모델에서는 손목 정중 신경 절단 후 패치를 이용해 봉합했을 때 엄지
손가락
의 움직임이 정상에 가까운 수준으로 회복된다는 점을 1년에 걸쳐 확인했다. 또 패치에 신경 재생을 촉진하는 단백질 분자를 추가하면 기존 바느질 봉합술보다 조직재생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다는 점도 설치류 ... ...
귤을 많이 담으려면…귤포장에 숨은 수학
과학동아
l
2024.02.10
제공 겨울 하면 귤입니다. 따뜻한 방에 앉아
손가락
이 노래질 때까지 귤을 까먹는 즐거움은 역시 겨울에만 누릴 수 있는 호사죠. 귤을 까먹으며 빨간색 망에 들어있는 귤을 보다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어떻게 하면 망에 귤을 최적의 부피로 포장할 수 있을까요. 답은 예상 외로 복잡합니다. ... ...
카카오헬스케어, 실시간 혈당 관리 앱 '파스타' 공식 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주요 메뉴 및 기능. 카카오 제공. 기존에는 채혈을 통해 혈당을 측정하면 하루 5번씩
손가락
을 찔러 혈당을 재고 그 값을 앱이나 노트에 정리해 외래 진료 시마다 담당의에게 제시해야 한다. 황 대표는 “하루에 5번, 일주일에 35번, 한 달이면 수백 개의 측정값이 나오는데 그걸 정리해 병원에 ... ...
손 글씨, 타이핑보다 기억력 향상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설명했다. 더 많은 감각을 동원한 활동일수록 뇌의 활성도를 더욱 높인다는 것이다.
손가락
으로 키보드를 반복적으로 누르는 단순한 움직임은 뇌에 가하는 자극이 크지 않다고 보았다. 연구팀은 “태블릿PC로 글을 쓰고 읽는 것을 배운 아이들은 ‘b’나 ‘d’처럼 거울상 글자를 구별하는 데 ... ...
굶주린 반려동물, 사망한 주인 훼손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1
사람의 얼굴과 목을 물고 갈비뼈를 부러뜨리는 특징을 보인 반면 고양이는 윗입술, 코,
손가락
등 피부 부위를 건드리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개에 의해 훼손되는 일이 더 많았지만 배고픔이 시체를 건드리는 주된 동기로 분석되는 만큼 어떤 동물이든 시체를 먹는 행동을 할 수 있다. ... ...
'비(非)인간 존재' 주장 나스카 미라…"동물뼈 붙인 인형"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떤 존재와도 관련없는 비 인간 존재"라고 주장했다. 미라는
손가락
3개가 달린 손 한 쌍에 비교적 긴 머리를 갖고 있다. 당시 호세 데 헤수스 잘체 베니테스 멕시코 해군 보건과학연구소 소장은 미라를 X선 촬영한 뒤 3차원으로 재구성해 분석한 결과 "인간과 관계없는 ... ...
열
손가락
지문 다 다르다는 상식 깨질까...AI가 유사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지문은 고유한 모양을 갖고 있다는 점은 매우 잘 알려진 사실”이라며 “동일한 사람의
손가락
일지라도 지문의 유사성을 감지하는 것을 불가능하다”며 거절 이유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연구팀은 포기하지 않고 자체 설계한 AI 시스템에 더 많은 지문 데이터를 입력하고 판별시키는 ... ...
[주말N수학] 공정하다는 착각! 동전 던지기
수학동아
l
2023.12.23
Mathematics 제공 결과가 나오는 이유를 논문에서는 이렇게 분석했다. 동전을 던질 때 엄지
손가락
이 동전에 흔들림을 줌으로써 동전은 축이 흔들리는 ‘세차운동’을 하게 되고 처음 위를 향한 면이 더 오랫동안 공중에 머물게 된다. 그에 따라 처음 상태대로 떨어질 확률이 51%라는 것이다. 200 ... ...
[헷갈린 과학] 줄의 개수가 달라요 가야금 VS 거문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3.11.25
각각의 줄을 받쳐주는 ‘안족’이 있습니다. 왼손은 안족의 왼편 줄을 짚고 오른
손가락
으로 안족 오른편 줄을 뜯어 연주합니다. 줄을 뜯으면 줄은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는 탄성력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며 소리를 냅니다. 이때 줄이 빨리 진동할수록 음이 높아집니다. 12줄의 명주실은 굵기가 모두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