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멸균
소독
뉴스
"
살균
"(으)로 총 28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생활용품에 대한 불안, 소비자가 스스로 깨어나야
2021.09.15
앞세운 어설픈 미사여구의 유혹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다. ‘신생아에게도 안전한
살균
제’라는 어처구니없는 광고를 앞세워 밀폐된 실내에 살생물질을 분무하라는 제조사의 사용법을 가려낼 판단력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제품의 부패・변질을 막아주기 위한 ‘보존제’와 인체 발암성이 ... ...
AI 정수장 가능성 연 이창하 서울대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9.01
산화시켜 분해하는 수처리 기술이다. 그중에서도 최근에는 오존의 강력한
살균
력을 이용해 유기오염물질을 분해하는 오존산화공정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매일 수십만t(톤)의 물이 사용되는 등 산업 발전으로 물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신종 유기오염물질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시효가 끝나가는 가습기
살균
제 참사
2021.09.01
안전 관리를 소홀히 했던 정부의 책임은 무거울 수밖에 없다. 미국 EPA의 초음파 가습기
살균
제 사용법 안내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교육,에너지,환경, 보건위생 ... ...
[과기원은 지금] 슈퍼컴으로 DNA 뭉침·풀림 현상 관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9.01
밝혔다. 바닷물 속 나트륨 이온을 이용해 전기를 충전하고, 방전하는 과정에서
살균
물질이 발생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이변 연구결과는 지난 5일 국제학술지 ‘에이씨에스 이에스엔티 워터(ACS ES&T Water)’에 공개됐다. ■포스텍은 31일 손준우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투명 반도체 소자나 전력 ... ...
교실 공기질을 개선해 코로나19 전파를 줄이는 5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1.08.31
공기정화 효과가 제품마다 다르다”며 “코로나19 전파를 막기 위해서는 자외선
살균
장치가 달려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공기 필터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헤파(HEPA) 필터와 같은 여과장치가 달려 있어 바이러스나 기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노아케스 교수는 “교실당 최소 ... ...
과학기자협 "비과학적인 보도 부추기는 언론중재법 개정안 반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8.25
정직한 지식을 바탕으로 이뤄지는 과학보도의 중요성은 코로나19 팬데믹은 물론 가습기
살균
제 사태, 라돈 침대 사태,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방류 등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그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한국과학기자협회는 이 같은 상황에서 개념과 기준도 불분명한 허위·조작보도라는 ... ...
만인 손길닿는 공유 킥보드 손잡이, 스스로
살균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5
고무 커버가 안팎으로 회전하도록 했다. 회전하는 고무커버가 손잡이 안의 UVC LED를 통해
살균
되는 원리다. 신용환 홍익대 산업디자인학과 박사과정생이 출품했다. 이번 대회 심사위원인 백준상 연세대 생활디자인학과 교수는 “전동 킥보드 사용자들의 잠재적인 불편과 불안을 기술적으로 해결한 ... ...
소비자 10명 중 6.7명 "생활용품 안전하지 않아"…"기업들 과학적인 정보 신경써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8.19
중요도도 25%로 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재욱 국건위 위원장은 “가습기
살균
제 사태 이후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위험성과 건강 피해에 대한 비과학적 건강정보와 국민의 불안감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의협 국건위는 과기협과 함께 의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방부제·
살균
제·보존제·항생제를 구분하자
2021.06.23
항생제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작년 여름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공식 기자회견에서
살균
제를 인체에 주사하면 코로나19를 퇴치할 수 있을 것이라는 발언으로 전 세계의 웃음거리가 되기도 했다. 항생제는 인체 독성이 비교적 약한 살생물질이다. 그렇다고 항생제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면 ... ...
[잠깐과학] 개와 고양이 자외선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1
파장이 가장 짧은 색깔인 보라색보다도 파장이 짧지요. 눈에 보이지 않지만 강력한
살균
작용을 하기 때문에 자외선을 이용해 칫솔이나 휴대전화를 소독하기도 한다. 영국 런던 시티대 생물학과의 론 더글라스 교수 연구팀은 동물원에서 이미 죽은 여러 종류의 동물들을 기증받았다. 그리고 동물의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