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죽음
사망
귀천
소멸
폐업
뉴스
"
사멸
"(으)로 총 40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세플라스틱, 귀 건강까지 위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단백질 관련 유전정보를 담은 전사체 분석에서도 폴리에틸렌을 먹은 쥐에게서 세포
사멸
과 염증 관련 유전자가 많이 발현됐다. 달팽이관과 전정기관에 손상이 일어났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미세플라스틱의 생체 위해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며 "미세플라스틱이 내이에 미치는 ... ...
혈액암 항암제 효과 예측하는 바이오마커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수 있는 고성능 동반진단 바이오마커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ABT-199는 세포의 생성과
사멸
을 조절하는 단백질인 ‘BCL2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항암제다. 연구팀은 BCL2 단백질군 내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PPI) 네트워크인 단백질 복합체의 역동성에 주목해 표적 항암제의 세포자살 조절 ... ...
'에너지 공장'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변이 메커니즘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네이처’에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에너지 대사 및
사멸
에 관여하는 세포의 작은 기관이다. 세포핵과 독립적으로 자체 DNA를 가지고 있으며 돌연변이도 발생할 수 있다. 돌연변이를 정밀하게 찾아내는 데 필수적인 단일세포 전장유전체 기술의 한계로 그동안 ... ...
악성 뇌종양 극복될까…'4세대 꿈의 암 치료기' 안전성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핵반응을 일으키는 치료법이다. 치료 과정에서 정상세포는 손상을 입지 않고 종양세포만
사멸
시킬 수 있다. 악성 뇌종양, 재발암, 수술적 절제가 어려운 침윤성 암 등 기존 방법으로 치료하기 어려운 환자에게 적용 가능하다. 수차례 반복해야 하는 다른 방사선 치료와 달리 1회 치료로 완치에 ... ...
미토콘드리아로 퇴행성 질환 제어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이중나선 RNA는 스트레스 환경에서 세포질로 빠져나가 비정상적인 면역 활성과 세포
사멸
을 유발한다. 미토콘드리아 이중나선 RNA로 촉발되는 면역 활성은 관절염, 헌팅턴 무도병을 비롯한 염증반응이 동반된 퇴행성 질환과 자가면역질환인 쇼그렌 증후군 발병 및 진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 ...
박테리아에서 유전자 훔치는 동물…생존·번식 목적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제조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로티퍼가 곰팡이 감염 시 살아남을 때와
사멸
할 때를 비교한 결과에서 살아남은 로티퍼에서 10배 많은 항생물질이 생성된다는 점도 발견했다. 미생물에서 가져온 DNA가 생존에 도움이 된다는 의미다. 과학자들은 선행 연구를 통해 로티퍼가 수백만년 ... ...
바이러스는 죽어서 면역에 흉터를 남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이후에도 조절 T세포에 염증성 흔적이 남는다는 연구 결과. 인체에 감염된 바이러스는
사멸
된 후에도 면역세포에 흔적을 남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신의철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바이러스 면역연구센터 센터장 연구팀이 서울시 보라매병원, 세브란스병원과 ... ...
손가락 땀에서 항생제 검출…"내성균 관리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질환이다. 환자에 따라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다. 균의 성장이나 발육을 억제하고
사멸
하는 항생제는 비교적 단기간에 치료 효과를 낼 수 있지만 장기간 복용하면 내성균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많은 종류의 항생제 영향을 받지 않고 균이 증식하게 하는 항생제 내성균은 현대 의학에서도 ... ...
면역항암치료 효과 높이는 '원투펀치'
동아사이언스
l
2024.06.21
하는 것이다. 암세포를 적으로 감지한 기존 우리 몸에 있던 면역세포들은 암세포
사멸
에 나서게 되는 원리다. 다른 항암제와는 달리 암세포가 아닌 정상세포를 공격하지 않는다는 특성도 있다. 또 특정 부위에 발생한 암세포까지 샅샅이 찾아내기 때문에 암 완치에 가까운 길을 열어주는 새로운 치료 ... ...
'세포 죽음 연구자' 김유선 교수,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김유선 아주대 의대 생화학교실 교수가 수상했다. 김 교수는 세포막을 붕괴시켜 스스로
사멸
하는 ‘네크롭토시스’의 핵심단백질인 ‘RIPK3’이 암세포 내에서 발현되도록 유도하는 메커니즘을 밝힌 연구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RIPK3의 발현을 조절하는 새로운 인자를 발굴해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