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편
뒤쪽
뒷쪽
후방
뒷방면
뒷편
뒤편짝
뉴스
"
뒤편
"(으)로 총 84건 검색되었습니다.
숙녀의 변비약은 어떻게 탄생했나
2015.02.22
추구했던 바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결과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 책은 위대한 발명들의
뒤편
에 숨겨진 인간적인 발명가들과 함께 더 인간적인 우연과 착오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들춘다. 가령 중·고등학교 과학실험 시간에 한 번쯤은 접해봤을 홍자색 염료 ‘페놀프탈레인’이 설사약으로 쓰이게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06
시스템의 단점인 수술 부담을 크게 줄였다. 지금까지는 인공눈 센서를 이식하려면 눈
뒤편
망막에 직접 시신경을 연결해야 했다. 수술을 통해 눈동자에 직접 신경 자극기와 무선 수신기 같은 부품을 이식했지만 수술에 따른 부작용이 컸다. 연구진은 이들 부품을 하나로 합쳐 작게 만든 뒤 안구 ... ...
‘로체스터 투명망토’ 직접 체험해보니
2014.11.21
기자의 얼굴을 집어넣었더니 왼쪽 눈 주변이 사라졌다. 눈이 보여야 할 자리에는 렌즈
뒤편
에 붙어 있는 모눈종이가 나타났다. - 이우상 기자 idol@donga.com 제공 지름 5cm 렌즈 뒤로 얼굴을 들이밀자 왼쪽 눈 주변이 감쪽같이 사라졌다. 눈동자와 피부가 있어야 할 자리엔 얼굴 뒤쪽 벽에 붙여 놓은 ... ...
영화 ‘인터스텔라’의 옥에 티, 찾아봤습니다
2014.11.14
빛을 내뿜는 블랙홀의 모습은 매우 사실적”이라며 “중력렌즈 효과 때문에 블랙홀
뒤편
의 별빛이 모여 마치 블랙홀이 빛나는 것처럼 보인다”고 설명했다. 중력렌즈 효과는 중력 때문에 빛이 직진하지 못하고 굴절하는 현상을 말한다. 블랙홀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빛나는 띠도 물질이 블랙홀에 ... ...
이번 주말엔 ‘토성 품은 달’ 관측하세요~!
2014.09.24
달
뒤편
으로 이동하면서 생기는 토성-달 엄폐 현상.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한국천문연구원은 28일 낮 12시 토성이 달 뒤로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토성 엄폐 현상이 일어난다고 밝혔다. 이번 토성 엄폐는 2007년 이후 7년 만에 일어나는 것으로 날씨가 맑을 경우 망원경으로 전국 어디서나 ... ...
"멘토보다 뛰어난 멘티들에 깜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5.12
거쳐 뉴턴의 생애로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발표가 끝난 뒤 “나가실 때 과학관
뒤편
의 뉴턴 사과나무도 꼭 보시라”는 능청스러운 홍보멘트가 나오는 순간 발표장 안은 웃음의 도가니로 변했다. 지난 5월 10일, 국립과천과학관 상상홀에서 열린 ‘제2기 과학영재아카데미’ 1차 합동모임은 참여한 ... ...
또 3단계 태양흑점 폭발, 올해만 벌써 5번째
과학동아
l
2014.04.25
이상이 발생한 것은 이번이 5번째다. 이번 태양흑점 폭발은 태양면 오른쪽 가장자리
뒤편
흑점군 2035에서 발생한 것으로 3단계 유지 시간이 13분으로 짧았고, 우리나라에 단파통신 장애 등의 피해를 입히지는 않았다. 초기 분석 결과, 흑점폭발 발생 위치상 태양입자의 유입이나 지자기 교란 현상 ... ...
우리는 왜 달로 가야 하는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18
‘라디(LADEE)’는 달의 희박한 대기와 표면에서 먼지 입자를 분석하다가 지난 18일 달
뒤편
에 충돌하며 임무를 마쳤다. 중국의 창어 3호는 달의 내부 지질구조를 탐사하는 한편, 달에서 외부 우주를 관측하고 있다. 인도의 달 궤도선 '찬드라얀1호'가 작은 크레이터에서 광물 성분을 측정한 자료. ... ...
[채널A] 무인 항공기 ‘드론’ 띄워 국회 정찰해 보니…
채널A
l
2014.04.03
동향 파악이 어렵지 않았습니다. 이영혜 기자가 직접 시도했습니다. [리포트] 국회의사당
뒤편
입니다. 건물 구조는 물론, 주차된 자동차가 몇 대인지 오가는 사람들의 모습까지 쉽고 세세하게 볼 수 있습니다. 무인항공기를 이용해 촬영한 영상은 이렇게 방송에 써도 손색이 없을 만큼 화질이 ... ...
뇌CT “2분만에 끝”… MRI ‘쿵덕쿵덕’ 소음에 깜짝 놀라
동아일보
l
2014.02.24
효과적 CT와 MRI 두 영상을 판독한 결과 다행히 기자의 뇌는 정상이었다. 머리
뒤편
소뇌 주변에 3∼4cm 정도의 물혹이 발견됐지만 크게 걱정할 건 아니었다. 정 교수는 “뇌의 물혹은 흔한 증상”이라며 “있어도 전혀 문제될 것 없다”고 말했다. MRI는 CT보다 검사시간도 오래 걸리고 비용도 많이 ... ...
이전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