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찬성
찬동
동의
수긍
납득
수락
합조
뉴스
"
동조
"(으)로 총 7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여전히 4헤르츠로 숨을 쉬었지만 후각망울은
동조
하지 않았고 변연계 앞 전전두엽의
동조
도 많이 약해졌다. 특히 약물을 처리해 후각망울의 신경을 파괴하자 조건화된 공포 반응으로 몸이 얼어붙는 시간이 훨씬 더 길어졌다. 즉 감정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연구자들은 “코는 냄새 ... ...
댓글은 죄가 없다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8.04.20
자유 침해보다 인격권 침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런 주장에
동조
하는 이들이 많은 듯하다. 여론조사기간 리얼미터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3분의 2는 댓글 실명제에 찬성한다고 한다. 그러나 실명제 시절에 악플이 없었나? 아니다. 그때도 엄청 많았다. 사업자들이 개인정보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가,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
2018.03.17
하여금 가해자를 옹호하게 만들 수 있다는 연구도 있었다 (Franiuk et al., 2008). 성범죄는
동조
자의 역할이 큰 범죄이다. 범죄자를 옹호하고 피해자를 단죄하는 사회의 분위기가 이들로 하여금 치밀한 범죄 후에도 그저 ‘실수’였을 뿐이라고 떳떳한 태도를 보이게 만든다. 누군가 ‘성범죄는 ... ...
[카드뉴스] 우리는 왜 ‘디스랩’에 열광하는가
동아사이언스
l
2017.12.19
랩은 신체와 심리 모두를 이완시킵니다. 몸의 내부와 외부의 리듬이 서로 맞춰지는
동조
현상은 걱정과 두려움을 줄이고 뇌로 하여금 감정을 정리하게 하지요. 리듬이 강한 음악을 들으면 그 리듬에 맞춰 어깨가 저절로 들썩입니다. 이러한 리듬청각자극은 뇌 손상 환자들이 재활치료를 할 때 ... ...
[카드뉴스] 재난은 우리를 어리석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5
없이 그저 많은 사람들이 행동하는 대로 따라합니다. 주변인의 행동과 의견을 따르는
동조
현상은 재난같이 상황 해석이 모호한 경우 잘 일어납니다. 상황판단이 빠른 리더가 없으면 이 유형은 패닉형과 비슷하게 행동합니다. 추종형 사람들은 최악의 상황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 낙관하면서 ... ...
[테마가 있는 영화] 양아치, 젠틀맨 되다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
2017.09.23
발렌타인의 갈등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사람들을 몰살시키려는 발렌타인과 그에
동조
한 사회지도층(여기엔 아서도 포함된다)을 ‘감히’ 평민인 에그시가 ‘전복’시키는 모습은 관객들에게 커다란 카타르시스를 전한다. 이른바 ‘불꽃놀이’ 장면으로 화제가 된 부분에서, 영화는 ... ...
오지랖 넓은 한국사회에서 자신을 되돌아 보는 방법
2017.07.30
내 방문을 나서는 순간부터 주변의 영향을 받게 된다. 무비판적으로 다수의 의견에
동조
하거나 복종하게 될 뿐 아니라, ‘내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에서도 주변의 압력을 받게 된다. 일례로 특히 개인들의 삶에 오지랖이 횡횡한 ‘집단주의 사회’일수록 개인들로 ... ...
유영민 미래부 장관후보자 “창조과학은 반(反)과학적”
동아사이언스
l
2017.07.04
인사청문회에서 “창조과학은 비(非)과학적이고 반(反)과학적”이라며 “창조과학에
동조
하거나 관련 활동을 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창조과학은 일부 극보수주의적·근본주의적 기독교 신자들이 과학으로 받아들이는 종교적 반지성주의다. 창조과학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진화론을 비롯한 ... ...
[카드뉴스] 귀신의 재구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2.02
마찬가지로 어둠 속에서 뭔가 움직이는 것 같다고 누가 먼저 말하면 옆에서도
동조
하게 되죠. 귀신이 출몰하기로 유명한 지역의 공통점 1. 조명이 어둡다. 2. 공간이 비교적 좁다. 3. 자기장의 변화가 심하다. - 영국 허트퍼드셔대 심리학과 리처드 와이즈먼 교수 이는 자기장의 변화가 뇌에 전기적 ... ...
[#촛불집회]집단행동의 심리학(상): 시위는 왜 일어나나?
2016.12.05
시위는 SNS 등을 통해서 확산되었고, 이는 곧 전세계로 퍼져서 약 1500개의 도시에서
동조
시위가 진행되었다. 누적된 불만이 사회적 공감을 얻는 순간, 큰 폭발력을 보이게 된다. - Rsauders 제공 ● 에필로그 10월 29일, 1차 촛불 집회에는 2만명(이하 주최측 추산)이 참여했다고 합니다. 그러던 것이 2차 ... ...
이전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