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념
사상
이데올로기
이념
생각
관념론
느낌
뉴스
"
관념
"(으)로 총 206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단백질 공급원은 '동물반식물반'?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대체할 수 있고 그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동물을 먹어야 건강하다는 것은 강박
관념
”이라며 “동물 제품 소비를 줄이고 비건을 생활화하면 세계 농지의 60%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같은 칼로리를 얻는 데 닭고기는 식물의 7배의 에너지를 투입해야 한다”며 “더구나 가축은 밀집 ... ...
[프리미엄 리포트]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07.11
보고 있다. 본래 정해져 있는 상식을 깨부수는 것이 파급력이 있듯, 기존 생물 분류의
관념
을 깨는 바이러스 연구 결과들이 계속해서 주목받고 있다. 아직 바이러스가 생물이란 걸 인정받진 못했지만, 바이러스는 점점 생물에 다가가고 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과학동아 7월 [바이러스 ... ...
더 강하면서 가공하기 편한 고엔트로피 합금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한계가 있었다. 김형섭 교수 연구팀은 고엔트로피 합금이 균일해야 한다는 고정
관념
을 역이용했다. 미세조직이 균일하지 않은 ‘헤테로 구조’의 고엔트로피 합금이 더 단단하면서도 유연할 수 있음을 알아냈기 때문이다. 헤테로 구조란 합금 내부의 구조, 조직이나 결정입자 크기 및 형상이 ... ...
'영국이 페널티킥에 약하다는 건 오해" 통계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9
정하는 심리를 뜻하는 용어다. 영국이 큰 경기에서 승부차기를 패한 일이 많아 고정
관념
이 생겼다는 것이다. 브링크슐트 연구원은 “앞으로 주요 경기에서 영국 대표팀의 성공을 결정하는 승부차기가 있을 것이고 기록은 평균을 향해 갈 것”이라며 “영국 축구 선수들이 페널티킥에 약하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중구와 코로나19
2020.04.21
진행되고 있다. 만일 과학자들이 ‘호중구는 우리의 충실한 보디가드’라는 고정
관념
에서 좀 더 일찍 벗어나 이들의 일탈을 통제하는 약물을 만들어놨다면 코로나19로 인한 희생이 지금보다는 훨씬 적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과학자들이 쓴 SF 소설집 ' 떨리는 손'
연합뉴스
l
2020.03.02
'떨리는 손'은 임신, 출산, 수유 등에서 양성이 부담을 함께한다는 내용을 통해 고정
관념
을 깬다. 이명현 '폴리아모리 유니베르스타'는 전파천문학자 부부의 딸인 '나'가 외계 지적 생명체가 있는 행성에 우주 돛대를 쏘아 올리는 프로젝트를 실현하는 과학자로 성장하는 과정을 그린다. 이종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잘못된 남성성 인식이 건강 위협한다
2020.02.01
또한 남성들의 건강하지 않은 행동들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듯 보인다. 단지 성고정
관념
때문에 위생수칙이나 건강 관리를 하지 않고 따라서 더 큰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은 안타까운 사실이다. “잘못된 남성성이 당신의 목숨을 위협한다”는 말이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철저한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감염
2020.01.11
왠지 수렵채집인은 늘 질병에 시달렸을 것 같다. 의사도 없고, 위생
관념
도 없던 시절이니 각종 전염병에 걸려 시름시름 앓다 죽었을 것이다. 문명이 시작된 후 의사라는 직업이 생기고 ... ...
태양 옆서 우리은하 최대 별 형성 가스 구조물 발견
연합뉴스
l
2020.01.08
큰 것으로, 태양계 인근의 별 생성 요람들이 고리처럼 형성돼 있을 것이라는 지난 150년의
관념
을 바꿔놓는 것이기도 하다. 미국 하버드대학교에 따르면 이 대학 응용천문학 교수인 알리사 굿맨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우리은하의 성간물질 3차원(3D) 지도를 만드는 과정에서 지구에서 약 5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
2019.12.31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은 우리가 철석같이 믿고 있는 사실의 상당 부분이 그저 ‘고정
관념
’일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멋진 사례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필자소개 강석기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